경마에 여름철 변수가 작용한다는 사실은 관련 전문가들 아니면 좀체 알 수 없는 비법이다.
우기 중엔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여름철에 강한 마필은 어떤 놈인지를 미리 알아 베팅 한다면 의외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기간 열리는 야간경마는 어떤 변수가 숨어있을까.
경마팬들에게 구미가 확 당길 이런 사항을 본보 애독자들의 서비스차원에서 알아본다.
올해 장마는 6월 하순부터 7월말까지 계속될 것이란 게 일기예보다.
비가 자주 오는 여름엔 경주로 상황을 잘 살펴야 한다.
경주로 표면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주로의 상태는 건조, 양호, 다습, 포화, 불량으로 나뉘는데 비가 오면 주로는 포화나 불량의 상태가 된다.
특히 경주로의 물이 육안으로 보이는 ‘불량’ 상태가 되면 주로의 상태에 민감한 경주마들로 인해 레이스 전개가 바뀌어 의외의 결과가 나오고 이에 따라 고배당이 터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난 5월 대통령배경주에서 비인기마였던 ‘프렌치댄서’가 2천m를 선행으로 완주해 단승식 59.4배 복승 150배 쌍승식 595.1의 고배당을 터뜨렸던 것도 ‘젖은 주로’의 덕이 컸다는 평이다.
더운 여름은 어느 말이 수영으로 몸을 다졌느냐 하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수영조교를 선호하기로 유명한 김택수, 김대근 조교사의 경우 수영조교를 실시하는 여름철 승률이 연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다.
김대근 조교사의 경우 지난 3년간 6월에서 8월까지 평균 승률이 14.3%, 복승률이 24.1%로 3년간 평균치인 9.5%, 17.7% 보다 월등히 높았다.
김택수 조교사의 애마 ‘언어카운티들리’ 역시 수영조교로 만성구절염 치료에 도움을 받아 지난해 6, 7, 8월을 우승으로 장식한 바 있다.
일일 수영조교 내역이 KRA 홈페이지에 공개되므로 세밀히 관찰하는 게 좋다.
폭염을 피해 열리는 야간경마는 마필과 기수의 생체리듬에 따라 평소 실력과 차이가 있다. 2000년 이성일(6승), 2001년 우창구(7승), 2002년 임대규(9승), 2003년 문세영 기수(10승)의 대를 이어 지난해에는 천창기 기수가 11승으로 야간경마 올빼미 기수에 등극했다.
얼마 전 국제기수초청경주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하고 2004년도 70승으로 다승왕을 차지한 ‘국민기수’ 박태종 기수의 경우 야간경마 기간에 오히려 힘을 못 써 지난해 야간경마 기간 중 6승으로 3위에 그쳤다.
여름철 경주의 또 다른 재미는 신인기수의 활약을 들 수 있다.
지난해 7월18일 7경주에 최정섭 기수는 ‘만수대승’에 기승, 깜짝 우승으로 쌍승식 1만971.1배의 초고배당포를 쏘아 올렸다.
여름철은 신인기수들이 대거 경주에 나서는 시기로 능력이 검증된 마필 소위 ‘인기마’를 배정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기수의 우승은 대개 고배당으로 이어진다.
계절 변화로 여러 가지 변수들이 추가되는 여름 경마를 세밀히 분석하는 것도 높은 배당을 받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