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비가 내릴 땐 세상이 고요해진다. 사락사락 떨어지는 꽃잎은 숨죽여 바라볼 만큼 아름답지만, 이유 모를 슬픔도 따른다. 4월은 아름다움과 서글픔이 공존하는 달이다. 4월 3일 제주에서는 짧게 사이렌이 울렸다. 4월 15~16일에는 경기도교육청의 각 기관과 학교에서 사이렌이 울릴 예정이다. 제주도에선 붉은 동백이 바닥으로 툭, 툭 떨어졌고 경기도에선 노란 리본이 나무에서 흔들렸다. 추모는 4월 내내 이어진다. 가장 멀고 소외된 지역에서 피어난 어둠은 오랜 시간이 흐르도록 드러나지 않았다. 실시간 정보가 다양한 채널로 빠르게 전달되는 시대에도 똬리를 튼 어둠은 배를 침몰시켰다. 깊숙한 동굴에서, 깊은 바다에서 가장 순박하고 순수한 사람들이 속절없이 사라졌다. 꽁꽁 감춰졌던 일들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알린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부터 번져갔다. 세계적인 관광지를 여행하던 사람들은 붉은 동백 뺏지를 받고 제주에서 어떤 사건이 있었음을 알게 됐고, 거리를 걷던 이들은 무료로 받은 노란 리본을 가방에 매달았다. 유행처럼 번져나간 물결이 묻혀있던 역사를 서서히 밝혔고, 사람들은 음악을 듣거나 책을 읽다가 퍼뜩 잊지 않겠다 다짐했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다크투어리즘은 어둡고
진짜 봄이 온다. 세상을 색색으로 물들이는 봄이. 이맘때쯤이면 사람들은 봄꽃 개화 시기 지도를 펴고 발을 동동 구르지만 봄은 남쪽에서부터 천천히 올라온다. 마침내 시린 겨울을 보낸 이들 앞에서 봉오리를 틔우고 고운 잎을 펼쳐낼 때, 모두가 기다리던 봄은 시작된다. 하지만 축제는 없다. 봄이면 늘 수도권을 들썩이게 하던 축제들은 어떻게 됐을까. 황홀한 노란빛 양평 산수유·한우 축제와 이천 백사 산수유꽃 축제, 산자락을 분홍빛으로 물들이는 부천 원미산 진달래 축제, 아름드리 벚나무 이백여 그루가 수원 팔달구 일대를 화사하게 빛내주는 경기도청 벚꽃축제는 모두 취소됐다. 3년 연속 경기관광대표축제로 선정되며 진분홍빛 철쭉동산을 배경으로 다채로운 문화예술행사를 펼치던 군포 철쭉축제도 3년째 조용하다. 친구, 가족, 연인이 가볍게 가까운 동네로 나가 봄꽃을 맞이하고 버스킹 공연과 마술쇼를 관람하며 지역 생산품을 구경하다 먹거리를 실컷 즐기는 축제들은 3년째 빗장을 내걸었다. 무엇보다도 안전이 최우선인 시기에 축제는 감히 꿈도 꿀 수 없었고, 각 지역마다 몰려들 인파가 두려워 방문 자제를 요청했다. 그래도 올해는 지난 2년과 다르다. 제주, 대구, 태안 등지에선 예년보다
사려니숲길은 천천히 걸어야 한다. 제주의 자연을 오롯이 느끼기 위해서다. 유네스코 지정 제주 생물권 보전지역이자 제주시 숨은 비경 31 중 하나인 사려니숲길에는 졸참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산딸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등 다양한 나무들과 제주족제비, 팔색조, 쇠살모사 등 갖가지 동물이 서식한다. 수많은 종이 모여 사는 숲인데, 같은 종이라도 형태가 모두 다르다. 제 몸의 반을 차지하는 커다란 구멍을 품고도 싹을 틔우는 나무가 있는가 하면 니은(ㄴ)자 모양으로 가지를 뻗은 기괴한 형상의 나무도 있다. 어떤 나무들은 적절히 떨어져 위를 향해 쭉 뻗었지만 어떤 나무들은 밀착되다 못해 서로를 휘감으며 자라나고, 또 다른 나무는 홀로 제 몸을 배배 꼰다. ‘자연스럽다’는 말은 ‘힘들이거나 애쓰지 않고 저절로 된 듯하다’는 의미를 내포하지만 사실 자연 속에서 생물들은 치열하게 살아간다. 몸을 기이하게 구부린 나무는 외부의 침입에 대응한 모습이면 곧은 나무가 빽빽하게 늘어선 청량한 숲은 키를 키우지 않으면 햇볕을 쬐지 못한 나무들의 경쟁터다. 결국, 격한 생존의 형태다. 종도 형태도 다른 존재들이 최선을 다해 살아가려 할 때, 숲에는 생기가 넘친다. 각자가 어떤 방식
폐소공포증 없으시죠? 침 삼키시면 안 돼요. 주무시면 안 돼요. 미처 대답할 틈도 없이 전신이 둥근 통 안으로 들이밀린다. 없었던 폐소공포증이 고개를 들고 숨이 가빠진다. 안 된다는 말 때문일까, 침이 차오르고 입술이 바싹 마른다. 디스크가 의심되어 시행한 경추 MRI 촬영. 목 옆으로 끼워 넣은 쿠션 때문에 한 치도 움직일 수 없고 어깨와 목은 점점 더 뻣뻣해진다. 온통 하얀 공간에서 귀마개 밖으로 들리는 드릴 소리와 망치 소리에 스멀스멀 공포감이 차오른다. 괜찮다. 다 지나간다. 조금만 참으면 돼. 오롯이 홀로인 공간에서 자신을 다독이며 여행을 시작한다. 오로지 나를 위한 상상여행을. 코로나 시대 2년 차, 비일상이 일상이 된 세상에서 여행은 새로운 옷을 입었다. 하얀 막 안에서 자신이 내뱉은 숨을 들이마시던 사람들은 스스로를 벽 안에 가두고 타인을 걸어 다니는 병균으로 여기며 점차 예민해졌다. 꼼짝할 수 없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코로나블루가 심각해졌고 온라인으로 비명을 지르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추억여행과 랜선여행으로 자신을 달래던 사람들은 전 세계를 장악한 바이러스의 기세가 약해질 때마다 소도시로, 소수의 사람들과, 소확행 여행을 떠났다. 어떤 여행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