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마스크 속 입 냄새 불편하다면? 구강관리 신경 써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거리두기가 강화되며 외출 시는 물론 실내 근무시간에도 마스크를 써야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하루에 8~10시간 이상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구강관리에 소홀해지기도 쉬운데, 마스크 속에서 나는 입 냄새(구취)로 스스로가 괴롭다면 원인을 바로 찾아봐야 한다. 구취(입 냄새)는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지만 타인과의 생활에서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마스크를 쓰는 상황에서 당사자 스스로도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질환과 연결돼 있을 수 있는 가능성도 크다. 구취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모두 구강 내 이물질과 세균이 증식해 냄새를 유발하는 것이 공통적 사항이다. 충치나 치주질환, 잇몸병, 설태 등에 질병이 생기면 세균이 더욱 쉽게 증식해 구취가 유발된다. 또 심한 스트레스나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약물 장기복용 또는 비염환자의 경우에는 구강질환이 없어도 침 분비가 원활하지 않고 입안이 건조해서 구취가 날 수 있다. 이 밖에 위 혹은 장에 문제가 있으면 구취가 난다고 알려져 있듯이 편도나 호흡기 질환, 위 역류성 질환, 신장 질환, 폐 질환, 간 질환의 경우가 구취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마스크를 통해 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