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은 챗GPT(ChatGPT)에 정신의학 분야를 처음으로 적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챗GPT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서비스다. 기존의 AI에서 한 단계 발전해 대용량 데이터 학습을 통해 인간처럼 종합적으로 추론하고 대화형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어, 2023년 네이처 선정 ‘과학계 10대 인물’ 중 비인간으로 첫 선정되는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아주대 의대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팀(황규범·이동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은 공개된 정신분석 문헌 속 환자의 병력 자료를 바탕으로 챗GPT를 통한 정신역동적 공식화를 작성했다. 정신역동적 공식화는 과거 환자가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무의식적 갈등과 행동·감정 간 관계를 연결해, 증상이 갖는 의미를 해석·설명하는 역할뿐 아니라 사례에 대한 이해 및 치료 방향에 대한 지침이 된다. 연구팀은 정신역동적 설명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 문구를 설계했다. 이러한 입력 문구는 ▲챗GPT 생성 키워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생성 키워드 ▲문헌 등에서 얻은 일반적인 정신역동적 개념들을 포함했다. 그 결과 챗GPT를 통해 적절한 정신역동적 공식화 작성 즉, 환자를 설명하는 정신의학적 분석 답변
아주대의료원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팀(김청수 대학원생·감염내과 최영화 교수, 이화여대 약학대학 이정연 교수)은 상급종합병원 275만 명의 공통데이터모델(CDM)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AI 기반의 ‘경험적 항생제’ 내성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중증 감염병 환자가 입원할 경우, 정확한 항생제 처방을 위해 처방 전 항생제 내성 여부를 확인해야 하나, 처방을 미룰 수 없는 경우 일단 경험적으로 가장 적합한 처방, 즉 경험적 항생제를 시행한다. 이번 예측 모형은 입원 환자 중 병원성 요로감염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기저 특성(인구학적 특성·진단 기록·약물 처방력·검사 및 처치력 등) ▲타 기관 전원 기록 ▲항생제 감수성 경향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했다. 연구결과 8가지 항생제 감수성 패널 결과를 예측하는 이번 모형의 성능이 기존의 다른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항생제 내성의 원인 중 하나는 ‘부적절하게 투여된 항생제’로, 이는 ▲불필요한 투여 ▲부적절한 항생제(경험적 항생제 포함)선택 ▲용법·용량 오류 ▲투여 시간 지연 등의 경우다. 항생제 내성 문제는 계속 지속될 경우, 오는 2050년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00
아주대의료원 의료정보학과 박래웅 교수가 코로나19에 관련해 BBC 기자와 화상 인터뷰 한 내용이 지난 6일 BBC 한국어판 기사에 소개됐다. 6일 소개된 기사 제목은 ‘트럼프가 극찬한 ‘클로로퀸’ 위험성 밝혀낸 빅데이터 연구’다. 내용을 보면 클로로퀸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코로나19 치료제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지만 박래웅 교수를 포함한 30여개국 오딧세이 연구자들이 200만 건에 달하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 투약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분석 결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단기 복용했을 경우엔 별다른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이드록시클로로퀸과 항생제인 아지트로마이신을 함께 투여하자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했음을 밝혔다는 내용이다. 박래웅 교수는 지난 4월 29일 BBC Claire Press 기자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한 바 있다. 당시에는 우한에서 ‘최초 감염자(Patient Zero)’가 발생한 이후 ▲지난 6개월간 어떤 작업을 하였는지 ▲빅데이터 활용이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코로나 연구 관련 현재 연구자들이 겪는 어려움들이 무엇인지 ▲코로나 사태에 대한 전망 등의 내용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이번 인터뷰는 박래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