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제321회 정기연주회 ‘마르틴 덴디벨과 시벨리우스’를 14일 오후 7시 30분 부천아트센터 콘서트홀에서 개최한다. 부천필이 진행하는 2024년 정기연주회 ‘지휘자와 작곡가’ 시리즈의 9번째 순서다. 프랑스 출신의 지휘자 마르틴 덴디벨이 핀란드 대표 작곡가 시벨리우스를 연주한다. 마르틴 덴디벨은 호퍼 심포니커의 수석 지휘자이자 심포니오케스트 블랑드렌의 부지휘자로, 톤퀸슬러 오케스트라 빈, 콘체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톤할레 오케스트라 취리히, 슈타츠카펠레 바이마르, 로테르담 필하모닉 등을 지휘한 음악가다. 레퍼토리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생생하고 표현력 있는 지휘자로 평가받고 있다. 첫 프로그램은 리스트의 교향시 제3번 ‘전주곡’으로, 리스트의 교향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교향시 제3번 ‘전주곡’은 특정 시나 송가를 리스트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표현들을 펼쳐낸다. 리스트가 이야기하는 인생의 다양한 측면과 감정을 깊이 느낄 수 있다. 이어 피아니스트 김종윤이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연주한다. 김종윤은 쇼팽 소사이어티, 모스크바 리사이틀홀, 상하이 콘서바토리, 이태리 엠폴리 샬롬 극장, 라이프치히 유
경기아트센터는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5월 23일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5월 24일 롯데콘서트홀에서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II – 말러 교향곡 1번’을 공연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에서는 김선욱 예술감독의 지휘로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말 교향곡 1번 ‘거인’을 연주한다. 김선욱 지휘자가 말러 교향곡 1번을 연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선욱 지휘자는 “말러 교향곡 1번은 제가 어릴 때 지휘자를 꿈꾸며 스코어를 보고 피아노로 치던 곡입니다. 오랫동안 바라왔던 ‘꿈’이 실현되는 순간이자 동시에 말러의 음악 세계로 들어가기 위한 첫 관문이기도 합니다”라고 말했다. 말러가 29살에 작곡한 1번 교향곡은 다른 말러 교향곡들의 가장 기본이자 토대가 되는 작품이다. 그의 다른 교향곡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곡이라 ‘말러 입문용’으로 인기가 많은 편이지만 말러의 교향곡 중에 1번이 가장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가장 어려운 문제부터 푼다’는 김선욱은 마스터즈 시리즈I에서 베토벤 교향곡 중 가장 어려운 3번을 연주했고, ‘마스터즈 시리즈 II’에서도 말러 교향곡 중 가장 어려운 1번을 골랐다. 한편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은 몬트리올 국제
2021년 경기문화재단 지원 공모사업인 일제잔재청산 및 항일에 관한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달 13일 ‘민족시인 이육사가 부르는 항일노래’가 관객들과 만남을 가졌다. 40년의 인생 동안 17번의 투옥에도 불구하고 항일투쟁을 포기하지 않았던 독립운동가이자 그 정신을 31편의 시로 남긴 시인 이육사. 작품 초기에는 그 색이 옅었다고 하지만 그는 분명 펜을 들고 독립운동을 한 시인이다. 그의 작품 중 ‘광야’, ‘꽃’, ‘청포도’ 등 옥석을 골라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 보르딘의 ‘폴로비치안 댄스’,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중 ‘몰다우’, 차이콥스키의 ‘1812’ 등 곡과 합쳐 선사했다. 또한 테너, 무용, 연극배우 등이 출연해 공연을 풍성하게 만들면서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의 저항의식과 민족의식을 더욱 부각시켰다. 무대의 포문을 연 ‘광야’는 1845년 12월 17일 동생 이원조에 의해 발표된 것으로, 일제하의 절망적 현실 및 고난을 극복하고 새로운 광명의 세계를 염원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시를 통해 저항의 씨앗을 뿌리며 광복을 기다린 이육사의 정신은 시로써 우리들에게 이어져오고 있다. 독립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시와 함께 연주되는 음악 역시 독립에 대한 의식을
불이 꺼진 공연장, 이육사 시인의 ‘광야’가 울려 퍼진다. 뒤이어 핀란드 민족주의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의 ‘핀란디아’가 연주된다. 대한독립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안겨준 이육사의 시는 핀란드인들에게 같은 마음을 안겨준 시벨리우스의 곡과 만나 살아있는 역사의 숨결을 느끼게 한다. 경기문화재단의 ‘2021 문화예술 일제잔재 청산 및 항일추진 민간공모 지원사업’에 선정, 공연을 펼친 광주시민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민족시인 이육사가 부른 항일노래’는 이육사의 시와 오케스트라의 연주 등이 어우러진 한 편의 드라마와 같은 공연이다. 살아생전 31편의 시를 남기고 떠난 이육사, 그의 작품으로 공연을 만들어낸 김기원 지휘자는 “윤동주 시인은 정적인 느낌인 반면 이육사의 경우 행동적인 시인이라 생각했다. 이육사의 시를 주제로 잡은 만큼 시 낭송 부분은 꼭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 ‘광야’ 등 5편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선정된 시에 맞게 새롭게 작곡하거나 편곡을 거쳤다. 또한 오케스트라가 서양의 곡이다 보니 완벽하게 맞아떨어지는 곡은 없었다. 그래서 곡의 이미지나 태생에 초점을 맞춰 곡을 골랐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한혼가’, ‘새야새야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