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즌부터 프로배구 최고의 신인을 뽑는 수상 대상자 범위가 확대된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8일 “2024~2025시즌부터 신인선수상을 영플레이어상으로 명칭을 바꾼다. 수상 기준도 넓혔다”고 밝혔다. 신인선수상은 V리그에 처음 등록한 1년 차 선수들이 대상이었지만, 영플레이어상은 프로 3년 차까지 범위가 확대됐다. 올 시즌 데뷔한 신인 선수뿐 아니라 2023~2024시즌과 2022~2023 시즌에 뛰었던 선수들도 영플레이어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됐다. 이로써 2024~2025시즌 영 플레이어상 수상 대상자는 남자부 40명, 여자부 39명으로 총 79명의 선수들이 후보군에 포함됐다. 리그 일정이 3라운드를 마치고 반환점을 돈 가운데 남자부 초대 영플레이어상은 데뷔 3년차 선수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수원 수성고를 졸업하고 서울 우리카드의 지명을 받아 주전 자리를 꿰찬 세터 한태준과 수원 한국전력 세터 김주영, 안산 OK금융그룹 아포짓 스파이커 신호진의 삼파전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경기를 소화한 선수는 한태준(18경기 74세트)이지만, 그 뒤를 김주영과 신호진이 추격하고 있다. 김주영은 한태준 다음으로 많은 18경기 61세트를 출전했고, 신호
프로축구 K리그2 김포FC를 정규리그 3위에 올려놓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로 이끈 고정운 감독이 2023 하나원큐 K리그 대상 시상식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고정운 감독은 4일 서울시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K리그2 감독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고 감독은 2020시즌 K3리그(3부리그) 소속이었던 김포의 사령탑으로 부임해 첫 해 리그 8위를 차지한 데 이어 프로 합류 2년 만인 올 시즌 김포를 3위에 올려놓았고 승강 플레이오프로도 이뤄냈다. 고 감독의 지휘 아래 김포는 K리그2 13팀 가운데 최소 실점(26골)을 달성했고 무실점 경기도 19회로 가장 많았다. 고 감독은 투표 환산 점수 30.48점으로 박진섭 부산 아이파크 감독(25.66점), 정정용 김천 상무 감독(24.94점), 이영민 부천FC1995 감독(18.93점)을 따돌렸다. 고 감독은 감독 투표에서 3표, 각 팀 주장 투표에선 6표를 얻었고, 미디어 투표에선 101표 가운데 42표를 가져갔다. 고 감독은 “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에 주는 상이라 생각하겠다. 우리 선수들이 (능력이) 조금은 떨어지지만 축구에 대한 열정을 품고 임했다”며 “모든 공을 우리 선수들에게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
프로축구 K리그1 인천 유나이티드의 토종 공격수 홍시후가 시즌 마지막 K리그 ‘레모나 이달의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다. ‘레모나 이달의 영플레이어상’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이 경남제약의 후원을 받아 지난 해 신설한 상으로, 매달 K리그1에서 가장 큰 활약을 펼친 ‘영플레이어’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후보 자격조건은 K리그1 선수 중 ▲한국 국적, ▲만 23세 이하(1999년 이후 출생), ▲K리그 공식경기 첫 출장을 기록한 연도로부터 3년 이하(2020시즌 이후 데뷔)이다. 이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고, 해당 월의 소속팀 총 경기시간 중 절반 이상에 출장한 선수를 후보군으로 하며 연맹 기술위원회 산하 기술연구그룹(TSG) 위원들의 투표를 통해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10월 후보에는 홍시후를 포함, 조진우, 황재원(이상 대구FC), 고영준(포항 스틸러스) 등 모두 10명이었다. 이 중 홍시후가 5경기에 나와 1골 1도움으로 활약하는 등 TSG 위원들로부터 최다 득표를 얻어 10월의 영플레이어로 선정됐다. 홍시후는 지난 달 11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원큐 K리그1 2022 36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 경기에 선발로 출장해 전반 26분 이동수의 선제골을 도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