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제53회 대통령기 전국통일구간마라톤대회에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경기도는 3일 서울시 정동에서 파주 임진각까지 46.8㎞를 6개 구간으로 나눠 달리는 이번 대회 시도대항전에서 2시간32분40초의 기록으로 서울시(2시간33분56초)와 충청남도(2시간42분12초)를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경기도는 지난 해 대회 우승에 이어 2년 연속 우승기를 들어올렸다. 경기도의 종합우승 2연패에 앞장선 김도연(연천 전곡고)은 최우수선수상을 받았고 손현준(경기체고)은 우수선수로 선정됐으며 박상일 코치(전곡고)는 지도자상을 수상했다. 경기도는 1구간(서울 정동 경향신문사 앞~대성주유소·5.5㎞)에서 한현수(경기체고)가 17분42초로 3위에 오른 뒤 2구간(대성주유소~백제교·8.9㎞)에서 손현준이 28초52로 구간 1위를 차지하며 합계에서도 46분34초로 서울시(46분43초)와 충남(47분46초)을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3구간(벽제교 초입~내유초 앞·7.2㎞)에서 안도현(경기체고)이 24초32로 2위를 차지해 합계 1시간11분06초로 서울시(1시간10분35초)에 선두를 내준 경기도는 4구간(내유초 앞~구 통일로주유소 앞·7.8㎞)에서 고정현(경기체고)이 24
경기도가 제52회 대통령기 전국통일구간마라톤대회에서 30년 만에 정상에 올랐다. 경기도는 4일 서울시 중구 정동에서 파주시 임진각까지 46.9㎞를 6개 구단으로 나눠 달린 대회 시·도대항전에서 합계 2시간31분55초로 서울시(2시간32분38초)와 강원도(2시간40분05초)를 제치고 지난 1992년 제22회 대회 우승 이후 30년 만에 패권을 차지했다. 경기도는 1구간(경향신문사~대성주유소·5.5㎞)에서 고정현(경기체고)이 17분28초로 구간 2위에 오른 뒤 2구간(대성주유소~벽제교·8.9㎞)에서 손현준(경기체고)이 28분28초로 구간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3구간(벽제교~내유초교 앞·7.2㎞)에서도 김태훈(경기체고)이 22분30초로 구간 우승을 차지하며 선두로 나섰다. 기세가 오른 경기도는 4구간(내유초교 앞~구 통일로주유소 앞·7.8㎞)에서 김도연(연천 전곡고)이 24분19초로 다시 1위에 오른 뒤 5구간(구 통일로주유소 앞~ 구 통일공원 앞·10.2㎞)에서 김기현(경기체고)이 35분04초로 구간 3위를 차지하며 주춤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마지막 6구간(통일공원~임진각·7.3㎞)에서 김민석(경기체고)이 24분06초로 구간 1위에 오르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당신이 쓴 편지 한 통, 철조망을 녹입니다.” 지난 2018년 4월 27일 한반도의 영원한 평화를 약속한 ‘4·27 판문점 평화 선언’ 3주기를 맞아, 당시를 기억하고 다시금 평화의 대화를 이어가는 소중한 자리가 열린다. 27일 오후 7~9시 해운대 문화회관 고운홀에서 4·27 판문점 평화 선언 3주년 기념 북 콘서트 <꿈같은 편지를 씁니다>가 펼쳐진다. 부산국제교류재단,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부산지역본부, ㈔통일문화교류협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운대구 협의의회, 북녘동포에게편지쓰는사람들 주관·주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판문점 평화선언 3주기를 맞아 편지 모음집 ‘꿈같은 편지를 씁니다’에 담긴 다양한 메시지를 공유할 예정이다. 노무현재단 해운대 지회 회원 30여 명이 지난해 7월 만든 ‘북녘동포에게편지쓰는사람들’이 최근 발간한 ‘꿈같은 편지를 씁니다’는 전국 각지의 다양한 직업의 사람들이 언젠가는 전해질 것을 희망하며 북녘동포에게 쓴 편지 130여 통이 실렸다. 이상석 ‘북녘동포에게편지쓰는사람들’ 대표는 “현재의 교착된 남북 관계는 실망과 답답함을 안겨주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일수록 보통의 시민들이 작은 걸음으로나마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여러분 모두 조국통일에 관심을 가져 후손들에게 분단국가라는 오명을 남겨주지 맙시다.” 24일 밤 9시 48분 지병으로 타계한 故(고)강대석 유물론철학자가 지난해 8월 17일 자신의 탄생 78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전한 인사말 중 한 부분이다. 유물론철학자 강대석에게 있어 ‘조국통일’은 평생의 목표였다. 1943년 전남 장성군 북하면에서 태어난 그는 경북대학교 사범대 교육과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이후 유학길에 올라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철학과 독문학, 독일사를 공부했고, 스위스 바젤대학에서 철학과, 독문학, 미학을 연구했다. 본래 관념론철학을 수학한 그가 유물론철학으로의 전환을 한 계기는 1980년 광주에서 일어난 5·18 민주화운동이었다. 당시 전남대학교에 다니던 여동생이 민주화운동에 참가해 계엄군의 곤봉에 중상을 입자 그는 신이나 초월적 절대자의 존재를 부정하는 유물론으로 전공을 변경했다. 강 교수는 생전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는 주인공은 자신이란 말을 자주 했다. 그는 사회를 건전하게 변화시키기 위해 1987년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창립회원으로 대구 가톨릭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할 때까지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다. 이어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