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 공무원들이 각 지자체가 실시하는 퇴출제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 인사행정은 관련 부서의 권한남용과 다면평가에 불만족을 느끼는 직원이 많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 같은 사실은 공무원노조 과천시지부가 최근 ‘노동조건 및 권익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밝혀졌다.
특히 퇴출제도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전체 77.4%인 205명이 반대했다.
이들은 ‘일하는 분위기 조성과 일정부분 경쟁은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현 퇴출제도는 간부급이 아닌 말단직원이 불리한 구조로 일부 자치단체장들의 인기영합주의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인사행정 부분은 ‘개선의 여지는 있으나 무난하다’가 70.6%로, 반면 구체적 항목에선 인사부서의 권한남용과 직렬 간 불균형이 각각 37%로 타 문항보다 높았다.
이밖에 복지카드 사용부분은 가맹점이나 이용물품 한정, 복지포인트가 낮다는 등의 문제를 제기한 직원이 197명(74.3%)에 달했다.
또 전화친절도 평가는 해당위원들의 억지질문과 불친절 유도, 도식화와 억지성 질문이 많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견해가 높았다.
공무원 연금 개정은 국민연금 통합(9.4%)보다 현행유지(81.5%)가 많았고 직장 내 보육시설은 필요하다(69.8%)고 응답한 가운데 장소는 ‘시청 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총액인건비제 공무원 구조조정을 위한 제도란 생각을 가진 직원이 76.6%(203명)를 차지했고 다면평가는 대체와 매우를 합한 불만족이 52.8%(130명)로 나타났다.
이유는 일방적인 다면평가위원 선정, 공정성 미확보 등으로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여성 직원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지 회식자리의 성희롱 여부, 손님 접대 전담, 여성무시 등 문항은 대체적으로 없다고 답했다.
반면 능력을 발휘하는데 저하되는 요인으로는 육아와 가사부담(46.9%), 적정 부서배치미흡 등을 꼽았다.
이번 설문은 총 486부를 배포한 가운데 이중 충실히 답변한 265부를 분석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