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8 (일)

  • 구름많음동두천 26.5℃
  • 구름많음강릉 27.7℃
  • 흐림서울 27.3℃
  • 구름많음대전 25.9℃
  • 흐림대구 26.9℃
  • 맑음울산 26.8℃
  • 구름많음광주 26.8℃
  • 구름많음부산 27.1℃
  • 구름조금고창 27.0℃
  • 맑음제주 27.7℃
  • 구름많음강화 27.5℃
  • 구름많음보은 24.9℃
  • 구름많음금산 24.5℃
  • 맑음강진군 27.4℃
  • 맑음경주시 25.5℃
  • 맑음거제 27.4℃
기상청 제공

클러스터의 전문인력·전담조직 구축 필요

①프롤로그/ 도내 클러스터의 허와 실
②클러스터 이래선 안된다
③몸부림 치는 중소기업, 꿈틀대는 미니클러스터
④2017 다윗 프로젝트, 반월·시화 클러스터를 주목하라
⑤전문가 제언

연관 기업들이 포도송이 처럼 송골송골 붙어있는 클러스터. 굴뚝 공장으로 대변되던 기존 제조업 중심의 산업공단이 기술·개발을 연계한 혁신 클러스터로 바뀌면서 한국판 실리콘밸리도 더이상 꿈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 클러스터는 아직 갈길이 멀기만 하다.

 

‘산넘어 산’의 산적한 문제를 풀기 위해 가장 먼저해야 할 일로 전문가들은 경기도의 클러스터 정책 시스템 부재 해결을 꼽았다.

이미 7~8년 전부터 경북 구미와 대구, 광주광역시 등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역들은 클러스터만을 전담으로 지원하는 전담조직이 구성돼 있다. 이에 반해 경기도의 클러스터 정책은 시작단계인 만큼 전문인력과 전담조직이 없는데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시스템 조차 완비되지 않아 정책 입안자들의 인식전환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지는 시리즈를 끝내면서 경기개발연구원 이원영 수석연구위원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노성호 대학원장 그리고 현재 반월시화공단 내에서 자동차부품 미니클러스터에 참여하고 있는 (주)프론텍 민수홍 상무이사로부터 경기도내 클러스터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앞으로의 발전 방향 등을 들어봤다.

- 클러스터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와 우리가 클러스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잇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이원영 연구위원= 클러스터란 지리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산업집단인 산업클러스터와 지역클러스터, 기술혁신을 위한 산학연의 학습네트워크인 이노베이션 클러스터 등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현재 경기도의 경우는 부천과 성남, 반월시화공단에 클러스터 활동이 활발한 편이고 광교와 판교 클러스터가 초기 단계에 있는데 이러한 클러스터 정책은 경기도가 나서서 진행하기보다는 지자체와 중앙정부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노성호 대학원장= 현재 세계적으로 핀란드와 스웨덴,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 정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이는 WTO(세계무역기구)와 FTA(자유무역협정) 등 세계적으로 공정경쟁체제에 돌입하면서 특정 업종에게 금융이나 세제 등을 지원해주는 전통적인 산업 정책을 할 수 없게 됐다.

이러한 상황에 기술과 인프라, 인력 양성에 필요한 네트워크를 지원해 주는 클러스터가 새로운 산업 정책으로 떠오른 것이다.

▲민수홍 상무이사= 반월시화공단 내에 있는 자동차부품미니클러스터에 지난해부터 참가해 활동하고 있다. 솔직히 클러스터에 참가하기 전에는 클러스터라는 의미 자체가 생소했다.

하지만 먼저 미니클러스터에 참가해 활동하고 있는 동종업계 기업의 권유로 활동을 시작하게 됐다. 클러스터에 참가하기 전에는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기술개발부터 판로확보까지 독자적으로 개척해야 했다.

하지만 클러스터에 가입하면서 산·학·연 네트워크가 되다보니 혼자 독자적으로 일을 추진하는 것보다 함께 협력해서 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향상됐다.

예를 들어 독자적으로 기술개발을 할 경우 경험부족에 따른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데 중소기업에게 그러한 시행착오 비용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큰 돈이다.

하지만 클러스터를 통해 산·학·연 이 함께 연계해 기술개발을 진행하면 금전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중소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경기도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산업 정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원영 연구위원=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은 산업의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에 대한 요구가 다른 지방자치 단체에 비해 낮다.

이에따라 산업정책이나 과학기술진흥 정책은 중앙정부의 역할로 간주했고 경기도의 과학기술투자는 주로 첨단기술단지와 건물 건설에 투자되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적었다.

또한 경기도 첨단기술거점은 경기도의 산업전략이라는 차원에서 추진된 것이 아니라 지역개발차원에서 추진되다보니 인기분야로의 중복 투자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했다.

이외에도 성남과 부천 등 기초단체에서 추진되고 있는 기술혁신 거점 조성 정책에 대한 경기도의 종합조정 기능도 취약한 편이다.

▲노성호 대학원장= 반도체를 비롯한 IT, LCD, 바이오 등 경기도의 전략업종들을 효과적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클러스터 정책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경기도의 클러스터 정책은 없다고 봐야 할 정도로 인프라 구축과 시스템, 정책마련 등이 미흡한 상태이다.

클러스터 정책이란 첨단 기술 즉, 기술에 대한 정책인 만큼 이 정책을 실행할 수 있는 전문 인프라 구축과 그에 따른 정책, 그리고 이를 유기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경기도의 경우 최근 그 시도를 하고 있지만 좀 더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민수홍 상무이사= 현재 반월시화공단의 경우 공단이 조성돼 있고 많은 기업들이 입주해 있지만 그만큼 기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부대시설이 취약하다.

아직까지 교통망이나 대중교통 등 교통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출·퇴근 할 때 시간을 너무 많이 빼앗기고 있고 공단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환경도 미흡하다.

또 기업을 운영하다보면 해외 바이어들이 많이 오게되는데 이러한 해외바이어들이 묵을 수 있는 호텔 등 숙박시설도 전무하다고 봐야 한다.

세계화 시대에 맞춰 기업을 운영하는데에는 기업 뿐 아니라 그외에 부대시설 등 전반적인 기업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공단이나 클러스터를 조성할 때 이러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책마련도 선행돼야 한다.

-앞으로 경기도의 클러스터 정책이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필요한 방안은.

▲이원영 연구위원= 이러한 지역내 클러스터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보다 지방자체단체의 역활이 훨씬 중요하다.

하지만 지자체에 모든 것을 맡긴다기 보다 지방지자체에서 기본적인 정책을 세우면 경기도가 종합적으로 통제,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업이노베이션 추진 위원회를 만들어 조직화할 필요가 있다.

각 지자체 클러스터 담당들과 산학연의 전문가, 도의원들로 이뤄진 추진위원회는 산학연 네트워킹의 활성화와 비전 및 전략을 제시하고 정부정책을 체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노성호 대학원장= 현재 우리나라의 클러스터 정책은 대기업의 참여없이 중소기업과 연구인력만이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기업의 참여없이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기 힘들다. 국가와 연구기관, 그리고 대기업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

하지만 대기업의 경우 자체 능력이 있는만큼 클러스터 참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이를 위해 대기업의 참여를 지원하는 정부의 유인 정책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경기도 주력 업종의 경쟁력은 생산기술과 원가에 대한 경쟁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중앙정부에서 지원하는 혁신클러스터의 경우 예산이 50여억원에 불가해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정도에 불가하다. 좀 더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민수홍 상무이사= 아무리 좋은 클러스터 정책이라해도 기업들의 참여가 없다면 ‘빛 좋은 개살구’에 불가하다. 하지만 아직 기업인들에게 클러스터란 생소한 정책 중 하나이다.

기업인들의 경우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래서 인맥 형성을 위해 많은 모임을 가지고 있지만 시간만 뺏기고 효과는 없다는 선입관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클러스터가 이러한 단순한 인적네트워크가 아닌 실제적으로 기술이나 소득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서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이같은 홍보뿐 아니라 직접적인 지원부분도 늘려야 한다. 예를 들어 병역특례 업체 선정이나 금융대출에 있어서 클러스터 참여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가점을 주었으면 한다.

또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대기업과 연계돼 있는만큼 함께 클러스터를 형성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