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로 준설을 위해 걷어낸 준설토를 바다의 일부를 매워 투기장을 조성하는 투기방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현재 조성된 대규모 투기장 대부분이 연안갯벌지역에 조성되고 있어 이로 인해 갯벌이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으며 연안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인천환경운동연합은 24일 “준설토 투기장이 무분별하게 바다를 매워 조성될 뿐 아니라 본래의 목적과 다르게 사후 항만 배후부지를 확보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해양수산부가 인천항만의 항로준설로 인한 준설토의 처리를 위해 조성한 투기장은 남항 준설토 투기장을 비롯 인천공항고속도로 옆 영종도 옆 준설토 투기장, 또 현재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서구 북항 준설토 투기장 등을 모두 합치면 수백만평에 달한다”며 “인천시가 송도국제도시를 건설하면서 천여만평의 송도갯벌을 매립하고 있고 또 해양수산부는 그 바로 옆 갯벌위에 남항 준설토 투기장을 포함해 준설토를 매립하기 위한 투기장을 또 조성함으로써 보존돼야 할 갯벌이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고 심각성을 경고했다.
인천환경운동연합은 이어 “대규모 준설토 투기장이 대부분 연안갯벌지역에 조성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규모 갯벌 매립이 불가피하다”며 “어차피 갯벌을 매립해할 바에는 준설토로 갯벌을 매립하면 또 다른 지역에 준설토 투기장을 조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갯벌을 최소의 규모로 보호할 수 있으나 매립후 만들어진 토지에 대한 소유권 확보에 대한 토지조성 목적으로 이러한 비효율성이 고쳐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조강희 사무처장은 “이제는 준설토 투기장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통해 친환경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하고 “조성된 투기장도 공공성과 환경성을 최대한 살려 해변지역에 녹지를 조성하고 대규모 공원과 체육시설을 포함한 친수공간을 확보해 바다를 보면서 운동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친환경적 공간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