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4일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지지자들이 제주 합동연설회에서 물리적 충돌을 빚으면서 잠정 중단한 지방 합동연설회를 다시 정상적으로 진행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방유세 중단을 놓고 충돌을 빚었던 한나라당 내홍은 일단 봉합국면에 접어들게 됐다. 당 경선관리위원회(위원장 박관용)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이 같이 결정했다고 최구식 위원회 대변인이 전했다.
이 전 시장측 박희태, 박 전 대표측 홍사덕 선대위원장은 이날 경선관리위에 제출한 서약서에서 ▲플래카드와 피켓 등 응원도구의 행사장 내 반입 불허 ▲입장 자격이 없는 팬클럽이나 사조직 회원 등의 연설회장 입장 불허 ▲연설회장 질서를 문란케 한 자에 대한 선관위의 퇴장 결정 수용 등을 약속했다.
이에 따라 당 경선위는 당초 24일 열릴 예정이었던 광주 유세는 다음달 5일 개최하기로 했고, 26일 부산 유세를 시작으로 앞으로 남은 12차례의 합동연설회는 예정대로 진행키로 했다.
최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지방유세를 중단하면서 내걸었던 2가지 조건이 충족됐다”며 “질서유지를 위한 각 캠프의 서약서 접수와, 질서문란자 강제퇴장 등 당의 계획안도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최 대변인은 “이 정도면 대회를 원만히 진행할 수 있다는 판단이 들어 합동연설회를 정상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당 차원의 질서유지계획과 관련, 최 대변인은 “후보별 참관당원 숫자를 애초 250명에서 50명으로 대폭 줄였다”며 “상황과 지역에 따라 증감이 있을 수 있지만 50명을 원칙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제주 유세를 보면 선거인단이 아닌 사람이나 입장자격이 없는 사람이 행사장에 많이 입장해 문제를 일으킨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앞으로는 행사장 입구서 초청장을 받은 선거인단만 들여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단 행사장에 들어온 당원은 밖으로 나갈 수 없고, 나가면 다시 들어오지 못한다”며 “행사장 내에는 손바닥과 목소리를 제외한 막대풍선 등 일체의 응원도구 반입이 불가하고, 유니폼 착용도 금지된다”고 전했다.
행사장 내 좌석배치에 대해서도 최 대변인은 “중간에 안전지대, 일명 세이프존을 설치하고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 지지자들을 양쪽으로 분리토록 했다”며 “안전지대 관리는 외부전문 경호업체에 용역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대변인은 광주유세 연기에 대해서도 “유세일정이 연기된데 대해 광주.전남시민과 국민참여 선거인단 여러분께 심심한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측의 박형준 대변인은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한 반면 박 전 대표측의 김재원 대변인은 “당이 공정한 경선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부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