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증진과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한약을 복용하는 소비자의 10명 중 8명은 약재성분, 원산지가 어디인지 조차 모른채 처방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대통합민주신당 김태년 의원(성남 수정)이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 국정감사를통해 밝힌 내용에 따르면 한약소비자들의 88.1%가 한의원에서 진단을 하고 한약을 구입하고 있으나, 팩 포장의 형태로 구입하는 한약재의 내용을 전혀 모르고 처방받은 소비자가 76.1%로 나타났다.
김태년 의원은 “10명중 8명의 소비자가 자신이 복용하는 약이 어떤 성분인지, 약재 원산지가 어디인지 조차 모르고 복용하고 있으며, 이 중 7명정도는 부작용이 생겨도 자신의 체질 탓으로 돌리고 다시 한의원으로 돌아가고 있다”며 한의원의 약재 처방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김 의원은 한약 분야가 공급자 중심의 시장, 정보의 비대칭성의 대표적인 시장이기 때문에 피해 구제 현장에서 소비자 주권이 쉽게 무너질 수 있음을 지적하고, “한약 처방시 소비자에게 처방전 발급을 의무화 할 것”과, “소비자에게 약재 선택권을 고지할 것” 등의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