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7℃
  • 흐림강릉 23.5℃
  • 서울 24.4℃
  • 흐림대전 24.8℃
  • 대구 23.8℃
  • 흐림울산 24.7℃
  • 광주 24.2℃
  • 부산 24.3℃
  • 흐림고창 25.0℃
  • 흐림제주 27.8℃
  • 흐림강화 23.0℃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4.3℃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산업클러스터 道 지원 필요

재원부족·입지규제 등 공통된 어려움 직면
경기개발연, 중복사업 조정 등 해결책 제안

시군별 추진중인 산업클러스터의 효율성을 꾀하기 위해서는 도 차원의 정책계획 수립, 자금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문미성 연구위원은 14일 ‘도 산업클러스터 발전 기본구상’이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도내에는 현재 11개 R&D 지구 개발개획이 확정되거나 수립중”이라며 “사업별로 사업경험 부족, 입지규제, 민자유치 어려움, 재원부족 등의 공통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문 연구위원은 도가 앞장서 시·군 단위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행정·재정 지원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광교신도시 도시지원시설(64만6천600㎡) 사업과 판교 IT업무지구(33만㎡) 등의 착공 노하우를 단위 시·군에 전달하고 자금 지원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

특히 단지조성 등의 기반 구축 사업은 시·군과 민간사업자 중심으로 추진하고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비전과 목표 설정, 시·군별 중복사업 조정 등에 도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한다는 설명이다.

또 산업자원부의 ‘산업기술단지(테크노파크)’ 지정제도의 규제로 인한 테크노파크 수 제한 조치를 효율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 연구위원은 “시·군 등의 사업에 대해 대학 등이 가세하는 기술단지 조성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도의 대형 기반구축 투자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 연구위원은 각 단위사업별 투자방법도 제시했다.

산업단지 조성이나 아파트형 공장의 경우 건립자금, 분양자금 제도에 의해 지원을 받을 수 있으나 벤처 집적시설, 오피스빌딩 등은 현재 자금 제도가 미미하다고 밝혔다.

문 연구위원은 “향후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도가 운영중인 중소기업 자금지원 제도를 조금만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