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7℃
  • 흐림강릉 23.5℃
  • 서울 24.4℃
  • 흐림대전 24.8℃
  • 대구 23.8℃
  • 흐림울산 24.7℃
  • 광주 24.2℃
  • 부산 24.3℃
  • 흐림고창 25.0℃
  • 흐림제주 27.8℃
  • 흐림강화 23.0℃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4.3℃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道 56개 공공기관 지방이전 부지확보 재원마련 등 시급

경기개발硏, 지역경제 부작용 최소화 방안 촉구

정부의 혁신도시 추진에 따라 이전하는 공공기관 부지에 대해 도가 사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상규 연구위원은 ‘도 주요 공공기관 이전 적지 활용을 위한 예비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도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으로 생길 수 있는 지역경제 침체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현재 추세라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내 공공기관 176곳이 지방으로 이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 가운데 내 공공기관은 전체의 31.6%인 56곳을 차지하는데, 이들 기관의 이전부지 면적은 도내 12개 시에서 모두 926만8천㎡, 종사자는 2만9천37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내 GRDP(지역내 총생산)는 1조4천억∼1조9천억원, 투자는 6천59억∼1조2천억원, 소비는 820억∼870억원, 지방세수입 446억원, 고용 5만6천∼5만8천명이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위원은 “지역경제 침체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화기 위해서는 도가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도시기능의 재편과 활용방안을 미리 준비하고 이전부지 매입 등에 적극 개입할 필요가 있다”며 “해당 부지를 지역 사정에 맞게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공공기관 이전부지 활용의 기본방향으로 규모가 크고 입지상 도 차원에서 주거단지 등으로 주요하게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이전부지를 중심으로 활용 방안을 구상할 것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에 ▲이전부지 주변환경과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적 차원 개발 ▲큰 규모의 부지의 경우 도가 직접 매입, 개발 ▲도가 주도적으로 지원, 관리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이 위원은 “부지 매입에 대비해 특별 재원을 활용하거나 지방채권 발행, 이전적지 매입을 위한 기금 적립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보다 원활한 재원마련을 위해 시·군 매칭펀드 방식, 민자유치 등 다양한 개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 같은 기본 방향을 토대로 이전 기관의 면적이 10만㎡ 이상, 종사자주 500명 이상인 9개시 소재 20개 기관의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그 내용을 보면 용인 국립경찰대학은 공원.테마파크나 복지·실버타운으로, 수원 축산연구소는 R&D 시설 또는 생태주거단지로, 의왕 한국농촌공사는 복지·문화시설이나 주거지역으로 개발할 것 등을 제안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