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2.8℃
  • 박무서울 22.3℃
  • 박무대전 21.8℃
  • 구름많음대구 24.6℃
  • 흐림울산 23.4℃
  • 흐림광주 22.7℃
  • 박무부산 22.6℃
  • 흐림고창 22.6℃
  • 흐림제주 25.0℃
  • 구름많음강화 21.1℃
  • 맑음보은 20.4℃
  • 구름많음금산 21.8℃
  • 구름많음강진군 23.2℃
  • 구름많음경주시 23.2℃
  • 흐림거제 22.3℃
기상청 제공

한국인 하루 밥 두공기 먹는다

1인당 연간 76.9kg 소비…채소·과일·육류 등 증가추세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6.9㎏으로 전년의 78.8㎏보다 1.9㎏(-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 2006년 11월 1일부터 지난해 10월31일까지 전국 1천639가구를 대상으로 2007양곡년도 양곡소비량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조사품목은 쌀, 보리쌀, 밀가루, 잡곡류, 두류, 서류등으로 가구별, 품목별, 용도별 양곡 소비량을 조사했다.

2007양곡년도 양곡소비량이 줄어든 것은 참살이(well-being), 맞벌이 부부 증가로 인한 대체식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쌀 소비량이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농가·비농가별 쌀 소비량 조사에서는 대체식품 소비가 적은 농가에서 전년대비 0.4㎏(-0.3%) 감소한 127.6㎏인 반면 비농가는 1.9㎏(-2.5%) 감소한 73.3㎏으로 조사됐다.

용도별 소비량 조사에서는 전체 쌀 소비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식용 쌀이 75.5㎏으로 전년대비 1.9㎏(-2.5%) 감소했다. 1인 하루 쌀 소비량은 210.9g으로 전년에 비해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하루 2공기 정도의 쌀을 소비하고 있었다.

월별 1인당 1일 소비량은 제수용 떡 소비가 많은 설 명절이 포함된 2월에 소비량이 228.1g으로 가장 많았고, 여름 휴가철인 8월에 203.6g으로 가장 적은 소비량을 나타냈다.

이처럼 식생활 변화로 인한 쌀 소비량은 지속적인 감소추제를 보이고 있는데 반해 채소류, 과일류, 육류의 소비는 대체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육류는 2004년 감소세(-1.3%)를 보이던 것이 2005년 1.9% 증가한 뒤 2006년 5.3%로 뛰었고, 채소류 역시 2005년 전년에 비해 -7.5%로 감소하다 2006년 5.8%나 증가했다.

식생활 방식이 점차 다양화 되면서 생육, 어개류, 식빵, 떡 등의 대체식품비도 소폭 증가했다.

한편 1인당 연간 결식횟수는 건강관리, 식습관 개선, 주 5일제 실시 등으로 인해 17.6회로 전년 19.0회 보다 1.4회(-7.3%) 감소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