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2.8℃
  • 박무서울 22.3℃
  • 박무대전 21.8℃
  • 구름많음대구 24.6℃
  • 흐림울산 23.4℃
  • 흐림광주 22.7℃
  • 박무부산 22.6℃
  • 흐림고창 22.6℃
  • 흐림제주 25.0℃
  • 구름많음강화 21.1℃
  • 맑음보은 20.4℃
  • 구름많음금산 21.8℃
  • 구름많음강진군 23.2℃
  • 구름많음경주시 23.2℃
  • 흐림거제 22.3℃
기상청 제공

“농업연구 부실이 가장 큰 걱정”

인수위 농진청 폐지 반발… 농촌지도자중앙聯 등 5만명 궐기대회

“농업인들이 쓸 수 없는 농업연구는 더이상 필요없다”

대통령직 인수위의 농촌진흥청 폐지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이 결국 집단행동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윤요근)는 28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문화마당에서 전국 농촌지도자회 회원과 생활개선회 회원, 전국농민연합, 전국농민단체협의회 등 5만명의 농민이 모여 ‘우리농업 말살하는 한미 FTA 국회비준 반대’, ‘농업기술의 산실 농촌진흥청 폐지 철회’ 등을 요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궐기대회는 문화공연과 FTA 국회비준과 농진청 폐지 규탄 발언, 삭발식, 차기 정부의 농업 정책에 대한 건의문 낭독 순으로 진행된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관계자는 “인수위의 농촌진흥청 폐지 발표 이후 지금까지 농민들은 성명서 발표와 인수위와의 간담회 등 이 문제를 대화로 풀어가기 위해 노력했다”며 “하지만 인수위는 우리들의 요구를 듣기보다 농진청 폐지에 대한 합리화 논리로 농민들을 설득하려고만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화를 하면 할수록 인수위는 농촌진흥청 직원들의 신분보장과 월급인상에 대한 조건을 내걸었지만 농민들이 원하는 것은 이런것이 아니다”라며 “더이상 대화로는 풀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강조했다.

농업인들은 농촌진흥청의 출연기관 전환에 따른 가장 큰 우려로 농업연구의 부실을 꼽았다.

1990년 이후 농촌진흥청은 세계최초 토양전자지도 완성과 비파괴 과일 당도판정기술 개발, 농업 유전자원의 국가 관리 체계 구축, 가축을 이용한 바이오신약 생산과 산업화 등 농업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연구 성과를 냈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지난 2003년부터 2006년간 농업분야 주요국가 연구원들의 성과를 비교해보면 연구원 1인당 농진청 2.7건, 일본 NARO 1.17건, 미국 ARS 0.76건으로 농진청이 월등히 높다”며 “특히, 농진청의 연구기술은 농민들에게 직접 교육을 통해 전해짐으로 더욱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하지만 농진청이 출연기관으로 전환될 경우 민간기관인 만큼 연구기술에 대한 기술료를 농업인들로부터 받아야 할텐데 어려운 농업현실에서 기술료를 내고 기술을 배울 농업인들이 얼마나 되냐”며 “농업인에게 가지 않는 농업연구가 더이상 무슨 소용이 있겠냐”고 한숨을 내쉬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