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대한민국 국보 제1호인 숭례문(남대문)이 화재로 전소된 가운데 경기북부지역에서 발굴된 상당수 문화재들의 관리 실태가 매우 허술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고양시 지정문화재 현황을 보면 국가 지정문화재인 보물 제611호 태고사원증국사탑비를 비롯 사적 제56호 행주산성 등 12개로 나타났으며 도 지정 문화재인 유형문화재 제74호 행주대첩비 등 21개를 포함 총 33개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양시의 경우 재방예방대책은 연 1~2회에 그치고 있어 실제로 재난예방에는 무방비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월초쯤 고양 상운사 소화시설 설치공사와 관련, ‘도지정문화재현상변경 허가·신청을 냈으나 도에서는 소화시설의 설치가 문화재 주변 경관과 부조화되는 등 문화재 경관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불허가 처분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또 같은 달 고양 흥국사 소화시설 설치공사와 관련해 ‘도지정문화재현상변경 허가’를 신청했으나 마찬가지로 ‘문화재 경관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도에서는 문화재 보존 관리상의 이유로 불허가 처분 통보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문화재보호법시행령 제23조 규정에 적합하지 않아 허가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답변했다.
시민 윤모(행신동·48)씨는 “국보 제1호가 전소됐는데도 누구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는데 지역 문화재를 관리하는데 신경을 쓰겠느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반면 구리시의 경우 도 지정문화재가 2곳에 불과하지만 아차산 3층 석탑의 경우 소화기 10대를 비치하는 등 소화수조 및 관내 소방서와 종합대책을 수시로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경기북부지역인 고양, 하남, 구리, 가평 등 4개 시·군내에 국가, 도 지정문화재는 고양 33개, 하남 22개, 구리2, 가평 32개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