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농진청 폐지, 급한 불은 껐지만…

새정부 조직 개편 협상안타결 존폐 추후 논의
4월 총선 앞둔 농민 표심 잡기 임시방편 우려

“큰 불은 껐지만 마냥 좋아할 수 만은 없는 상황이다”

농촌진흥청의 폐지가 일단은 무마됐지만 존치에 대한 확답도 얻지 못해 농촌진흥청의 앞 날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4월 총선을 앞둔만큼 이번 조치가 농민들의 표를 잡아두기 위한 임시방편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어 불안함을 더욱 키웠다.

20일 여야가 새정부 조직 개편 협상안에 대해 극적으로 타결한 결과 그동안 존폐의 기로에 섰던 농진청은 이번 개편 대상에 포함되지 않고 추후 논의키로 결정했다.

이에따라 농진청은 일단 확대 개편되는 농수산식품부의 외청으로 현재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합의로 존치 가능성이 높아진 농진청 관계자들은 ‘우선 급한 불은 껐다’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농진청 관계자는 “이번 개편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만큼 일단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며 “추후 논의 후 결정을 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지만 이번 결과에 대해서는 다들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농진청의 한 간부는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농진청 내부 자체 반성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대통령직 인수위가 농진청의 문제로 제시했던 ‘효율성과 성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구조조정도 피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농진청과 농민들은 이번 결과에 대해 안도의 한숨을 내쉬면서도 여전히 농진청 폐지에 대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윤요근 회장은 “우선 이번 여야 합의를 통해 농업기술 경쟁력의 원천 기관인 농진청이 존폐의 기로에서 벗어난 것을 환영한다”며 “하지만 아직 4월 총선이 남아있는 만큼 선거 이후의 농진청 앞날은 장담할 수 없어 걱정된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이어 “농진청의 구조조정은 반드시 이뤄져야 하지만 이는 농진청이 존치한 후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며 “더이상 농진청이 존폐 논란에 휩싸이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농진청 축산과학원의 한 관계자도 이번 결과에 대해 섣불리 판단을 내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처음 소식을 들었을때는 기쁨이 컸지만 내부적으로 들어가보면 기뻐할 수 만도 없는 상황”이라며 “솔직히 4월 총선을 앞두고 있는만큼 농진청의 존폐문제를 선거 이후로 미룬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