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새정부의 ‘작은정부’ 구현을 위한 조직개편 및 지방자치단체의 10% 예산안 절감계획안에 따라 공무원 415명 감축안이 표면화되면서 공무원 노조 등이 반발하고 나섰다.
시는 6일 오전 2층 브리핑룸에서 중앙정부의 지침에 따른 인천시 공무원 감축계획 등 조직개편에 대한 기자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공무원 노조 조합원들의 적극적인 저지로 무산됐다.
공무원 노조 조합원들은 시 정책기획관의 기자회견장 출입을 막아선 채 “기자회견에 앞서 이해 당사자인 공무원 노조와 먼저 협의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브리핑룸 앞에서 플랜카드와 피켓 등을 들고 시위에 나선 조합원들은 새정부의 공무원 구조조정 계획안이 마련되기도 전에 시가 서둘러 조직개편안을 추진하는데 앞장서고 있다며 반발했다.
조합원들은 중앙정부의 구조조정 및 조직개편, 10% 예산절감 등을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지자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방침에 시가 앞장서 조직개편과 구조조정 등으로 공공기관 민영화 및 군·구를 포함한 공무원 415명 감축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비난했다.
조합원들은 또 충분한 사전 검토 없이 숫자 맞추기식의 일방적인 조직개편과 구조조정은 시가 중앙정부 방침에 맞추기 위한 인위적인 공무원 구조조정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어 즉시 철회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공무원 노조 조합원 등 일부 다수의 공무원들이 시 관계자의 브리핑룸 진입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시비가 일어났으며, 한때 기자실을 점거하고 간간히 구호를 외치는 등 소란스런 분위기가 재현되기도 했다.
한편 시는 이날 조직을 알뜰한 강소조직, 실천적 실용조직, 유능한 조직으로 내실화하고, 꼭 필요한 일 위주로 정예화하며, 겹치는 조직을 기능중심으로 간소화·광역화하고 (인력) 비용개념에 입각한 인력운영의 효율성·유연성 극대화를 위해 전체 공무원(1만1천37명) 대비 3.8%에 달하는 415명 감축계획안을 발표하려 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