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맑음동두천 24.0℃
  • 맑음강릉 22.4℃
  • 구름조금서울 24.5℃
  • 구름많음대전 24.3℃
  • 구름많음대구 27.3℃
  • 흐림울산 26.2℃
  • 흐림광주 23.7℃
  • 부산 23.3℃
  • 흐림고창 23.4℃
  • 흐림제주 26.2℃
  • 맑음강화 22.4℃
  • 흐림보은 23.8℃
  • 흐림금산 24.2℃
  • 흐림강진군 23.9℃
  • 흐림경주시 26.6℃
  • 흐림거제 23.1℃
기상청 제공

소비자체감경기 ‘아직도 한겨울’

지난달比 8.2p 내려… 하락폭 7년6개월만에 최고
고유가·물가 등 세계경기침체 국내소비심리 반영

고유가와 고물가 등 세계경기침체가 내수경기침체로 이어지면서 소비자체감경기가 꽁꽁 얼어붙었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전망조사’에 따르면 소비자기대지수는 전달에 비해 8.2p 내린 92.2로 집계돼 기준치 100을 밑돌았다.

이는 지난 2000년 11월 8.3p 하락 이 후 7년 6개월만에 가장 큰 하락폭이다.

소비자기대지수는 3월 99.7에서 4월 100.4로 상승한 뒤 한달 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

소비자기대지수는 6개월 후의 경기, 생활형편, 소비지출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6개월 후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좋아질 것으로 보는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많다는 뜻이다.

세부 항목별로는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가 4월 93.8에서 5월 77.9로 무려 15.9포인트 하락하면서 전체 지수의 하락세를 이끌었다.

경기 기대지수의 하락폭은 2002년 10월(18.1포인트) 이후 최대치다.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도 4월 100.1에서 5월 95.0으로 떨어져 앞으로 생활형편이 나빠질 것이라 예측하는 가구들이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기대지수는 전월에 비해 전 소득계층과 전 연령대에서 하락,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다.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 생활형편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도 5월 72.2로 전월의 80.0에 비해 하락했다.

소비자평가지수는 지난해 10월 92.5에서 11월 88.0으로 떨어진 뒤 12월 85.1, 올해 1월 82.7, 2월 81.8, 3월 76.4 등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 4월 들어 반짝 상승했으나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경기에 대한 평가지수는 61.0으로 4월의 72.4에 비해 11.4포인트, 생활형편에 대한 평가지수는 83.4로 전월의 87.3에 비해 4.2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1년 전과 비교해 현재 가계수입의 변동을 나타내는 가계수입 평가지수는 94.8로 전월(96.2) 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들은 앞으로 경기에 영향을 줄 가장 큰 요인으로 ‘유가 등 물가’(75.8%)를 꼽았다. 그 뒤를 ‘수출·환율’(8.0%)과 ‘국내소비’(5.2%) 등이 이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