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3.6℃
  • 구름조금강릉 26.3℃
  • 맑음서울 23.8℃
  • 구름많음대전 23.5℃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4℃
  • 구름많음광주 23.4℃
  • 구름많음부산 24.8℃
  • 구름많음고창 21.9℃
  • 흐림제주 22.8℃
  • 맑음강화 24.0℃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4℃
  • 구름많음강진군 22.9℃
  • 구름많음경주시 24.5℃
  • 구름많음거제 24.0℃
기상청 제공

청년층도… 고령층도… 일자리에 목마르다

청년층-전체 고용률 보다 낮고 실업률 보다 높아
고령층-절반 이상 생활비 명목 금전적 이유로…

청년층의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해 청년층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경우도 절반 이상이 금전적 이유 등으로 인해 취업이 절실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청년층(15∼29세)과 고령층(55∼79세)의 경제활동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의 고용률은 42.3%, 실업률은 6.9%로 전체 고용률(60.5%)보다 낮고 실업률(3.0%)은 높았다.

청년층이 첫 취업까지 걸린 평균 소요기간은 11개월로 전년과 동일했다.

하지만 1∼2년 미만 11.4%(49만9천명), 2∼3년 미만 5.3%(23만2천명), 3년 이상 9%(39만3천명) 등 4명 중 1명은 첫 취업까지 1년 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층의 장기실업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함께 고령층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평균근속기간이 20년 8개월인데 반해 청년층의 첫 직장 평균근속기간은 20개월로 점점 짧아지고 있어 젊은 층일수록 평생직장의 개념이 희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20개월로 지난해 대비 1개월 감소했다.

첫 직장 근속기간은 1∼2년 미만이 24.1%(105만8천명)로 가장 많았고 6개월∼1년 미만이 20.4%(89만6천명)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3개월도 채 견디지 못한 경우도 전체의 12.1%(52만8천명)에 달했고 3∼6개월 미만은 14.4%(63만1천명)로 집계됐다.

첫 일자리 이직경험자의 이직사유를 살펴보면 보수·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전체의 43.3%로 가장 많았고 ‘개인·가족적 이유’ 19.2%, ‘전망이 없어서’ 9.5% 등의 순이었다. 퇴직고령층의 취업 경험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생애 가장 오래 몸담은 직장에서 평균적으로 20년8개월을 근무한 후 53세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57.1%는 ‘일을 더 하고 싶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해 절반 이상이 취업을 원했다.

취업을 원하는 배경으로는 31.2%가 ‘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라고 답해 금전적인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고령층의 고용률은 49.9%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포인트, 실업률은 1.5%로 0.1%포인트 낮아졌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