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인천시당은 27일 인천시가 정부의 방침에 따라 명분 없는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을 추진하고 있다며 비난하고 나섰다.
민노당 인천시당은 지난 25일 성명을 내고 인천시가 의사절차도 무시하고 시민의견도 수렴하지 않은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운영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인천시당은 “도서관이라는 전문시스템을 운영해 본 경험이 없으며, 재단 자체의 역량도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인천문화재단에 공공도서관까지 수탁 경영하려는 것은 재단의 설립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양과 질에 있어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으로 도서관 수, 소장 도서수·사서직원수·자료구입비·장서 회전율·서비스 만족도 등이 선진국에 비해 한참 뒤떨어져 있으며 인천시의 인구 대비 공공도서관 수는 전국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시당은 “공공도서관을 민간위탁할 경우 경력이 많은 전문 인력보다는 시간제를 포함한 비정규직을 양산하고 이로 인해 도서관의 전문성 약화와 서비스의 질 저하로 공공성이 퇴색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우리나라보다 앞서 공공도서관의 민간위탁을 추진한 미국의 경우 민간위탁된 미국의 공공도서관 7곳의 비용절감과 서비스 개선 여부를 비교·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돈을 더 내야만 서비스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인천시당은 “이렇듯 대부분의 공공도서관 민영화 사업이 실패로 귀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시는 20년전의 민영화정책 폐해를 답습하는 계획을 발표했고, 시민 삶의 질이 달려 있는 정책을 아무런 동의 없이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