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2014아시아경기대회 개최에 따른 주경기장 및 보조경기장 추가시설에 대해 중앙정부가 난색을 표명하고 나서자 관람석을 고정석과 가변석을 병행하는 건설비 절감 방안대책을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인천시는 당초 2014아시아경기대회 주경기장을 기존 월드컵 경기장이었던 문학경기장(5만석)을 증축해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OCA의 기준(7만석)에 미달됨에 따라 서구 연희공원 GB지역에 친환경경기장 신축안을 마련 중앙정부의 승인을 요구했다.
그러나 중앙정부 문체부가 기존경기장활용 및 1회성 행사위한 과대투자 불가, 대회개최 후 적자예상 및 개발제한구역 훼손 등의 이유를 들어 신규 경기장 건설에 난색을 표명하고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 왔다.
이에 인천시 검토결과 아시안게임 주경기장으로 기존 문학경기장을 리모델링할 경우 가시거리초과 및 사석다수발생, 리모델링(2천500억원 추상)대비 경제성 희박, 국제경기장으로 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시는 기존 계획대로 연희공원에 주경기장을 건설하되 건설비 절감 등 효율적 건립안인 고정석과 가변석을 동시에 배치하는 소규모 경기장을 건설하는 대안을 마련했다.
또한 경기장을 대회 개최 후 흑자운영이 되도록 건설규모 최소화 및 수익시설 도입 등을 도입 등을 설계단계부터 종합적으로 검토 추진해 수익을 창출하고 환경 3등급이상 지역에 건립함으로서 인접 연희공원과 연계해 녹지공간 및 체육공원 등 친환경 경기장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편 2014아시경기대회 정대유 지원본부장은 “이와 같은 방안으로 사후관리 및 운영수익성을 검토해 본 결과 고정석 3만기준의 수익시설면적 16,500㎡일 경우 12억6천700만원의 흑자가 발생되며, 당초사업비 3천532억원에서 1천194억원이 절감된 2천33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