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발탄으로 그친 한나라당의 추경안 처리 시도가 여야의 감정의 골을 더욱 깊게 만들면서 정국이 더욱 얼어붙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치권 공방은 추석 연휴로 소강상태에 머물렀으나, 민주당이 15일 소위 날치기 미수사건에 대한 여권의 책임론을 거듭 제기하면서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이에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발목잡기’에 나섰다고 비난하면서, 추경문제는 에너지가격 인상을 막기 위한 ‘민생문제’라고 주장했다. 또 자유선진당과 공동대응을 통해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상태이다. 민주당 최재성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사실 추경예산과 관련해서 여야가 실질적 합의에 근접했었다”면서 “합의를 하고 있었던 과정에 예결위에서 불법적 날치기가 시도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대변인은 이어 “자신들이 실패한 날치기 미수사건을 정당의 자존심 앞세워 그 안대로 그대로 내용과 형식을 강행하려고 한다면 또 다른 불행한 사태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며 한나라당의 추경예산안을 총력 저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췄다.
정세균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한나라당이 민주당과 합의를 다 해놓고 표결을 강행한 것은 후안무치한 일이자 무도하고 오만한 정당임을 보여준 것”이라며 “다시 협상할 때는 민주당이 요구한 민생예산을 좀 더 반영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민주당 예결특위 위원 14명은 성명을 통해 ▲추경예산안 강행처리 기도에 대한 한나라당의 대국민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이한구 예결특위 위원장의 사퇴 ▲추경안의 원점 재심의 등 3개항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추경안 재협상은 없다며, 지난번 예결특위 소위에서 통과된 4조2천677억원안 그대로 처리할 방침을 천명하며 민주당을 압박하고 나섰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예결특위 소위에서 처리된 것은 3당이 이미 합의한 사항으로 보기 때문에 그 이후 발생한 추가 요구사항은 고의적인 ‘필리버스터’(의사진행방해)”라고 주장했다.
차명진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한나라당이 추경예산안 처리 과정에서 잘못한 것은 맞지만, 몰래 처리하다 벌어진 일, 힘으로 밀어붙이다 잘못된 일이라며 뒤집어 씌우는 민주당의 모습은 가당치 않다”며 “민주당이 처음부터 악의를 갖고 발목을 잡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도 “이번 추경안의 경우 민주당과의 협상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