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명박 정부의 적극적인 서울 잠실 제2 롯데월드 초고층(112층·555m) 신축허용 입장에 대해 서울공항 소재지 성남 수정구 정치권을 중심으로 고도제한 추가 완화, 공항 이전 요구 등이 여야 한목소리로 제기되는 등 지역 최대 현안으로 부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롯데월드 신축 허용 입장은 금광1동지구, 은행2동지구, 중동지구, 단대지구 등 구도심 재개발 주민 민원과 맞물리며 지역 최대 현안으로 대두될 우려를 낳고 있다.
정부의 롯데월드 초고층 허용 입장이 표면화되면서 수정구 출신 한나라당 신영수 국회의원과 민주당 김태년 전 국회의원(수정구 지역위원장)은 최근 입장 발표를 통해 “서울공항으로 인해 성남 구시가지는 3층(12m) 높이에서 2002년 15층(45m)으로 완화 돼 재개발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여타 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심한 규제로 재산권 행사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며 서울공항 이전과 고도제한 추가 완화 조치 등에 같은 목소리를 냈다.
신 의원은 “시 전체 면적 141.8㎢ 가운데 58.6%인 83.1㎢가 고도제한 구역으로 묶여 45m이상 건축 신축이 불허되고 있고 37만4천223 가구 가운데 56.3%인 21만687가구(56만명)가 규제 대상에 포함돼 주민들은 고도제한 추가완화 보다 서울공항 이전을 강력 제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또 “하나의 대형 건축물 신축을 위해 서울공항 활주로 변경 등을 검토한다는 것에 대해 그 자체를 이해하기 힘들고 56만명의 삶의 질 향상 보다 일개 특정업체 사업성을 위한 특혜를 줄 수는 없는 것으로 활주로를 신설 하거나 변경할 경우 고도제한 구역(5·6구역) 설정을 변경할 가능성이 높아 시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지장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에 대해 반민생 친재벌 정책인 제2 롯데월드 초고층 허용 입장을 중단하고 성남지역에 대한 실질적 고도제한 완화 조치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성남은 광주대단지 조성, 위례신도시 등 정부의 잇따른 주택정책에 희생 당해온 만큼 지원·해결에 나서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담을 떠안기는 정책 입안에 대해 지역 주민들은 격노하고 있다”며 자연장애물인 영장산 193m 높이와 조화로운 고도제한 완화 등 정부의 실질적인 성남발전 정책 구상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