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인천시교육위원회 노현경 부의장이 제기한 시교육청 민간투자유치사업(BTL방식)의 부실공사 의혹에 대한 본지(2월 24일 13면)의 보도에 따라 시교육청이 전면 자체조사에 착수했다.
11일 인천시교육청은 지난 2005년 이후 신축 임대형 민자사업(BTL) 26개 학교 및 다목적 강당 누락·부실여부에 대한 전면 자체 재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민자사업팀장을 반장으로 건축 3명, 토목 1명, 기계 1명, 전기 1명 등 모두 6명으로 점검반을 구성, 오는 26일까지 점검에 나선다.
시교육청은 지난 2005년 이후 BTL방식으로 신축한 26개교 전체에 대해 실시협약서와 실시계획승인도서의 일치여부, 부실시공 및 부족시공여부, 실시협약서 및 시공상 차이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또 시교육청은 점검을 통해 부실 및 부당시공에 대해 재시공을 원칙으로 하며 부실하게 시공된 부분은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진단을 의뢰토록 하고 결과에 따라 재시공 및 보수, 보강토록 하며 부족시공(누락시공)은 민간사업자(SPC)에게 시공토록 조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실시협약서와 실시계획승인도서 및 시공의 일치여부를 확인, 임대형 민자사업(BTL)에 대한 자체 점검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한편 노 부의장은 지난 2007년 9월 개교한 BTL사업 학교 다목적강당이 기본시설에 들어가 있는 시설물을 누락시킨 채 준공을 마치고 그해 추경에 누락시설물에 대한 예산을 상정, 이중으로 지출되는 사항을 지적, 시정을 요구함으로써 논란이 됐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