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수원·화성·오산 통합, 175만 행복도시 삼박자 맞춘다

60년前 역사·문화·지리적 특성 공유… 통합 분위기 무르익어
수원-행정·금융, 화성-산업, 오산-배후도시로 균형발전 청사진
수원 ‘후끈’ 화성·오산 ‘차분’…시민단체 “주민의견 반영해야”

 


수원·화성·오산 통합 성사여부 관심

최근 경기도 내 행정체제개편에 대한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수원과 화성, 오산의 통합여부가 최대 관심거리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이석우 남양주시장의 구리시와의 통합의지 표명 이후 이대엽 성남시장과 김황식 하남시장의 통합 추진 선언 등으로 도내 지역통합에 대한 움직임들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김문원 의정부시장의 양주시, 동두천시와의 통합논의 제안과 안양시민통합추진위원회의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와의 통합논의 제안에 따라 행정체제개편 논의가 더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 가운데서도 가장 큰 화두가 되고 있는 지역은 수부도시인 수원시와 화성시, 오산시의 통합 여부이다.  <편집자주>

수원, 화성, 오산 지역은 예부터 수원군으로 행정구역이 묶여 있었다. 그러나 지난 1949년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하자 이를 제외한 나머지 수원군은 화성군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1989년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됐고 화성군은 2001년 시승격을 통해 지금의 행정체제가 마련됐다. 이런 과정 속에서 수원, 화성, 오산시는 인접 도시로서 자연스레 역사·문화·지리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런 배경과 함께 이 지역들은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단체장들의 공약사항으로 통합에 대한 여론이 뜨거웠던 곳이다. 당시 수원시장 후보였던 김용서 현 시장은 광역시 체제 기반 조성을 공약으로 내걸고 이를 위한 조건으로 수원·화성·오산시의 통합을 언급했다. 또 화성시 단체장 선거에서도 지역통합 공약은 여론의 관심을 이끌었던 사항이다.

수원은 도 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110만명)를 지닌 지역으로 화성(50만명), 오산(15만)과 합치게 되면 인구 175만명의 거대도시로 재탄생하게 된다. 규모가 커지게 되면 각 지역의 장점을 십분 살릴 수 있다는 의견이 높다. 수원은 행정과 금융도시, 화성은 산업도시, 오산은 배후도시로 각 도시의 특징을 갖고 있다. 현재 분리돼 있는 도시의 특징들은 향후 통합이 될 경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지자체 간 따로 개발하고 있는 도로와 신도시 등을 통합적으로 계획해 고도화된 도시개발을 이룰 수 있다는 입장도 나오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원 광교신도시, 화성 동탄신도시, 오산 세교신도시 개발 계획은 통합된 행정구역 속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균형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원·화성·오산시의 행정체제개편에서 중요 이슈는 단연 지역 균형 발전과 튼실한 재정집행이다. 기존에 각 지역별로 편차가 나타나는 경제·교육·문화적 환경을 포괄적으로 확대해 균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지역통합으로 안정적인 재정을 확보해 지역개발에 전략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김용서 수원시장은 최근 모 라디오방송에서 “60년 전에 수원, 화성, 오산은 한 도시였다”며 “어느 시점에 가서 3개 도시의 시장과 의장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한 도시라는 개념을 갖고 통합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화성시와 오산시에서는 지역 통합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오산시의 한 관계자는 “아직 시에서 논의된 것은 없다”며 “시에서 나서기 전에 주민들의 관심과 공감대가 있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같은 도내 지역통합 논란에 대해 경기시민사회포럼 윤옥경 사무국장은 “단기적인 통합 추진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해 결정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주민들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발전을 위해 통합을 고려한다면 자치단체 수장들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주민생활 향상과 편의를 위한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