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경제자유구역 신도시개발과 조화로운 구도심 개발을 위해 주거환경개선과 기반시설 확충을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이 일부주민들 반대로 사업에 차질을 빚자 전면 전수조사에 착수키로 해 결과의 추이가 주목된다.
인천시는 3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손해근 도시재생국장 주제로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던 도시재생사업이 최근 물리적 행동을 동원한 일부 시민들의 반대로 공청회가 연이어 무산되는 등 사업추진에 커다란 장애를 받아왔다고 밝혔다. 또한 재생사업지구내 공영개발에 반대하는 일부 대책위가 연대해 공동기자회견을 실시, 언론을 통해 집중 보도됨으로써 주민 대다수가 개발을 반대하는 것으로 시민들에게 인식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고, 일부 주민들은 선 보상가 제시 등 무리한 보상 및 이주 대책을 요구해 촉진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시는 재생사업지구내 주민들의 정확한 의견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키 위해 촉진계획 수립중인 지구전체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키로 하고 주민의 반발이 격렬한 제물포, 가좌IC, 동인천, 인천역 주변 등 해당 주민들을 대상으로 시행키로 했다.
전수조사 방식은 이달 중으로 실시해 15일 정도 시행하며, 사전에 해당 지역 주민에게 보상, 이주대책, 생활대책 재정착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설문배경 등에 대해 충분히 홍보한 후 시장 서한문 및 설문조사서 등을 우편으로 발송하고 회수하는 방식을 취할 계획이다.
따라서 전수조사가 완료되면 심층 분석해 올해말까지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정책방향을 결정할 계획으로 다수가 공영개발에 찬성하면 신속하고 강력하게 추진하고 반대하면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사업자체의 중단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손 국장은 “이번 실시되는 설문조사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사항으로 사업지역내 이해관계인 건물소유자, 세입자 등의 진솔하고 솔직한 의견제시 및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지역에서 현재 진행중인 도시재생사업은 도시개발사업3개와 재정비촉진사업 5개 등 총 8개로 사업시행중인 지역은 루원시티, 숭의운동장, 도화지역은 보상단계까지 진행중에 있으며, 촉진계획수립중인 사업은 제물포, 가좌IC, 동인천역, 인천역, 주안 2·4동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