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쓸데 없는’ 희망근로 상품권

거스름돈 안내줘 ‘울며겨자 먹기’식 추가 구매
재래시장 가맹점도 극소수… 항의 민원 빗발

군포시에 사는 김모(60)씨는 최근 희망 근로 하천 정비사업을 한 뒤 한 달 입금으로 ‘희망근로 상품권’ 25만원을 포함, 모두 83만원을 받았다.

손주와 손녀들을 돌봐야 할 처지라 집으로 한걸음에 달려갔지만 헛웃음이 나오기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상품권으로 생필품을 샀지만 거스름 돈을 주지 않아 자신의 돈을 더 보태 또다른 물건을 더 사야 했기 때문이다.

이에 김씨는 군포시에 민원을 제기했지만 별다른 대처 방안이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

또 희망근로상품권을 사용하려면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 들어가 이 상품권을 받는 업소를 일일이 찾아봐야 하는데 컴퓨터를 다룰 줄 모르는 김 씨는 ‘울며 겨자 먹기’로 그냥 아는 식당에 가 10% 할인된 가격에 매입을 제안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가 재래시장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희망근로 참여자들에게 급여의 30%를 별도의 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데 대해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해당 상품권을 받는 가맹점이 드물어 취약계층을 돕겠다는 희망근로사업의 취지가 무색해진 데다 애초 이 같은 문제점이 지적됐음에도 지자체는 별다른 보완책 없이 강행했기 때문이다.

일선 지자체들 역시 밀려 드는 항의 전화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상품권을 쓸래야 쓸 데가 없다’,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가맹점 상호·주소와 실제 상호·주소가 다르다’, ‘가맹점인데도 안 받아준다’는 내용의 민원이 대부분이다.

사정이 이러자 일부 지자체들은 소속 공무원과 산하단체, 관변단체 등을 동원해 희망근로상품권 사주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일선 공무원들은 반발하고 있다.

군포시의 한 공무원은 “최근 3개월간 봉급의 일부를 재래시장 상품권을 구입하는 데 지급했는데 또다시 상품권을 사라고 할 경우 직원 반발이 극에 달할 것”이라며 “이제 희망근로상품권은 공무원을 제외하고 민간에게 판매와 협조를 구할 때”라고 말했다.

행정안전부는 희망근로상품권 가맹점이 너무 적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가맹점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지자체와 협의하겠다는 입장만 내놓고 있다.

이 때문에 향후 희망근로사업이 연장될 경우 지자체는 행정안전부에 지침이나 방향제시만 기다리지 말고 취약계층 희망근로자들의 불만을 해소시켜 주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편 군포시에서 실시한 희망근로사업의 전체 참여자 수는 2천여명이며 사업비는 90여억원이 투입됐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