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군포역과 의왕역 사이에 설치되는 당정역 운영 협의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오는 5일로 예정된 개통식 개최도 불투명해졌다.
3일 군포시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두 기관은 지난 2006년 12월20일 수탁사업 협약을 통해 역사 운영은 코레일이 맡고 발생하는 손실은 군포시가 보전하기로 했다.
하지만 손실액 산정 기준을 놓고 두 기관의 의견 차가 커 협약에 따른 세부 운영 세부 협의는 개통식을 이틀 앞둔 지금까지도 성사되지 않고 있다.
두 기관 협의에 관한 쟁점은 세가지다. 적자분 납입 기간과 임대·광고 등의 부대수입을 운임수입으로 책정할 것인지, 시간외 근무수당을 운영비에 포함시킬 것인지 등이다.
적자분 납입 기간은 협약을 통해 1년으로 했지만 군포시는 운영 초기 어려움을 호소하며 3~5년 단위를 요구하고 있다. 또 역사 부대 수입인 점포 임대와 광고판 수입을 놓고는 군포시가 부대 수입액 전체를 수익으로 봐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반면 코레일은 본사로 최종 납입되는 금액만을 인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시간외근무 수당에 대해서는 군포시가 타당성 용역 때 검토 대상이 아니었다며 제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시의 요구가 모두 관철되면 연 적자는 5천만원 정도지만, 코레일 요구대로라면 연 2억원 가까이 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국토해양부는 두 기관이 세부 운영 협의를 마치지 않으면 역사 개통을 승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이어서 자칫 새 역사를 짓기만 하고 사용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당초 당정역 타당성 용역결과 하루 평균 역사 이용객은 승차만 9천400여 명으로 산출, 흑자 운영이 예상됐지만 당정택지개발 지구 입주일이 2012년 이후로 늦춰지면서 최근 하루 평균 승차객은 4천여명으로 뚝 떨어졌다.
코레일은 승차객이 하루평균 5천명 밑이면 대부분 적자 운영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세부 협의 없이 개통 승인은 어렵다”며 “예정된 개통식까지 국토부가 조정에 나서겠지만 합의되지 않으면 개통식은 연기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