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3.1℃
  • 구름많음강릉 21.9℃
  • 구름조금서울 22.8℃
  • 구름많음대전 23.0℃
  • 구름많음대구 25.7℃
  • 흐림울산 24.2℃
  • 구름많음광주 23.5℃
  • 흐림부산 22.5℃
  • 흐림고창 22.8℃
  • 제주 25.1℃
  • 구름조금강화 21.7℃
  • 구름많음보은 21.8℃
  • 구름많음금산 23.3℃
  • 흐림강진군 23.6℃
  • 흐림경주시 25.4℃
  • 흐림거제 22.5℃
기상청 제공

도내 일부 공공청사 자판기 장사 ‘눈살’

커피·음료 판매가 시중가격 최고 2배
운영수익금 직원 복리후생비 쓰이기도

도내 일부 공공청사에 설치된 커피ㆍ음료 자판기의 이용 요금이 시중 가격보다 비싸 민원인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또 일부 지자체에선 민원인들이 지불한 금액이 포함된 자판기 운영 수익금을 공무원들의 식대비 적자분에 메꾸는 등 복리후생 비용으로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도내 지자체와 산하기관들에 따르면 경기도와 수원시 등은 운영위원회나 직원 상조회를 통해 청사 한 곳 당 3대에서 많게는 20여대의 커피ㆍ음료 자판기를 설치해놓고 일반 커피는 300원, 음료수는 최고 900원까지 받고 있다.

이들 공공기관의 자판기 판매 가격을 시중 할인 마트와 비교한 결과 차종류의 경우 20%, 음료수는 40%~100% 가까이 비싼 것으로 확인됐다.

할인 마트에서 파는 음료수인 게토레이나 사이다(250㎖)의 가격과 비교해 봤을 때 최고 40% 더 비쌌고, 특히 캔커피 1개당(175㎖) 가격은 할인마트(약 270원)에 비해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이에 민원인들은 자판기 한 대당 가격이 200만~250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인건비와 재료비, 감가상각 비용을 따져봐도 ‘자판기 장사’로 거두는 수익이 만만치 않을 텐데 수익을 추구하기 보다는 지자체들이 민원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세에 발맞춰 자판기 이용요금을 커피의 경우 대학 내 요금 수준인 200원으로 낮추거나 아예 무료로 해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자판기 수익금을 공무원 복리 향상을 위해 사용해온 관행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수원시청을 찾은 한 민원인(45ㆍ여)은 “한 푼이 아쉬운 서민 입장에서 보면 좀 비싸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라며 “시민들이 내는 세금으로도 충분히 여유가 있을텐데 자판기 운영 수익으로 자신들을 위해 쓰는 건 온당치 않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한 지자체 총무과 담당자는 “자판기 판매 가격과 수익 내역을 누구에게도 공개할 이유나 의무도 없다”며 “내부 직원들을 위해 설치된 점도 있고 커피나 음료수 마시려고 시청에 오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반면 인천시 민원실의 경우 담당 국장의 지시에 따라 모든 민원인들에게 커피 자판기를 무료로 개방하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