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3℃
  • 흐림강릉 23.7℃
  • 서울 22.7℃
  • 대전 23.5℃
  • 대구 24.5℃
  • 흐림울산 24.8℃
  • 광주 23.8℃
  • 부산 23.5℃
  • 흐림고창 24.1℃
  • 제주 27.0℃
  • 흐림강화 20.7℃
  • 흐림보은 24.2℃
  • 흐림금산 24.6℃
  • 흐림강진군 24.4℃
  • 흐림경주시 25.1℃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농기실용화재단 노사 상생모델 주목

계약직 1명 근로자 위원에 포함 급여 등 협상
재단 인사때 직원들 의견 충분히 반영키로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독립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노사 협력 상생 모델이 안팎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 동안 재단은 농진청과 기획재정부 등 정부 예산 관련 기관으로부터 인사와 예산 면에서 자율성 확보가 힘들었다. 또 신생 조직이라는 태생적 한계로 말미암아 투자 대비 당장의 매출 성과를 내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 내부 운영의 투명성과 단합의 고리를 갖는 것도 과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지난달 13일 재단이 노사협의회 설치 공고를 낸 지 20일만인 이달 3일 노사협의회 구성을 마치고 16일 1차 노사 회의를 열면서 그 동안 제기돼 온 개선책 해결에 청신호가 켜졌다.

20일 재단 노사협의회에 따르면 재단은 노사협의회 설치에 관한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3일까지 노사협의회 구성과 설치를 마쳤다.

협의회는 계약직을 포함한 근로자 위원(5명)과 재단 이사장을 포함한 사용자 위원(5명) 등 10명이 투표 절차에 따라 선발됐는데, 특이한 점은 근로자 위원 중 1명(마케팅부 정훈희)은 계약직이라는 점이다.

재단 관계자는 “전체 40명의 계약직 중 1명을 근로자 위원에 포함시켜 이들의 근로 조건과 처우 개선 문제에 있어 사측과 유연한 협상을 벌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재단 노사협의회 구성으로 소속 근로자들의 인사와 급여 부분에 있어서도 협상의 여지를 넓힐 수 있게 됐다. 가령 현재 재단 이사장의 임명에 있어서 농진청장의 결재가 있어야 가능하다. 하지만 앞으로 노사협의회 근로자 위원들의 동의가 없으면 효력이 없게 된다. 재단의 인사 부분에 있어 직원 의견을 충분히 반영시킨다는 취지다.

재단 관계자는 그러나 “청장의 고유인사권 등 임원급 인사는 최대한 존중한다는 전제하에서 근로자 대표의 동의 절차를 필수적으로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매년 있는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평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재단 측은 보고 있다. 평가 항목에 근로자 참여를 법이 정한 절차대로 실효성 있게 운영하느냐를 보는 조항이 있는데 재단 측은 노사협의회 구성으로 걱정을 덜게 됐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번 협의회 구성이 근로자 측 입김이 강해지면서 임금 인상과 퇴직금 등에 있어서 ‘자기 밥그릇 챙기기’ 용 수단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단에 입사하는 신입사원 연봉은 대졸 기준 2천 700만원이다. 재단 측은 현재 23명에 이르는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여서 올 하반기엔 전체 정원만 184명에 이를 전망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