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3℃
  • 흐림강릉 23.7℃
  • 서울 22.7℃
  • 대전 23.5℃
  • 대구 24.5℃
  • 흐림울산 24.8℃
  • 광주 23.8℃
  • 부산 23.5℃
  • 흐림고창 24.1℃
  • 제주 27.0℃
  • 흐림강화 20.7℃
  • 흐림보은 24.2℃
  • 흐림금산 24.6℃
  • 흐림강진군 24.4℃
  • 흐림경주시 25.1℃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포토산업 알차게 지원한다

농진청 포도연구센터

 

자유무역협정(FTA)과 품종 개발 기술의 한계 등으로 갈수록 입지가 줄고 있는 도내 포도 재배 농가 및 포도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포도연구센터가 중장기 지원대책 추진에 본격 나섰다.

7일 도내 포도 농가와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현재 국내산 포도 품종은 조생종은 캠벨얼리로 73%를 차지하고 있고 중생종인 거봉(12.1%)과 만생종인 MBA(8.9%) 등으로 모두 8월 중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재배되고 있다.

현재 도내 포도 재배 지역은 안성과 화성(송산 포도), 안산(대부도 포도), 가평 포천(운악산 포도) 등으로 급격한 도시화 때문에 재배면적(2009년 기준 3천 500ha)이 해마다 급격하게 줄고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가 공시한 포도 수입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00년 7천921톤에 불과하던 포도 수입량이 지난해엔 2만8천여톤으로 10년 새 4배 이상 늘었다. 포도를 원료로 한 와인의 수출입 역조도 뚜렷하다. 우리 포도주의 수출은 지난해 15만2천 달러를 기록한 반면 해외에서 들여온 수입 물량은 2만3천톤, 금액으로는 1억1천200만 달러에 이른다.

이처럼 국내 포도 농가의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자 농진청은 한-칠레 FTA 체결 다음 해인 2005년 4월 박사급 연구원 8명으로 구성된 포도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당시 농림부령으로 태어난 센터는 그 동안 품종 제한과 기술력 부족, 판로 미정으로 고민해온 포도농가들은 물론이고 국내 포도 산업계에 희소식으로 여겨졌다.

농진청 이한찬 박사는 “신품종 기술과 판로 개척을 위해 센터 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벌이고 있다”며 “청수와 흑구슬 등 15개 품종에 대한 대목 기술 전파와 교육 프로그램 강화를 통해 경기도 포함 국내 포도 산업의 경쟁력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센터는 당도가 17.5Bx로 매우 높은 포도 품종인 청수의 상품화를 위해 주류업체인 배상면주가와 기술이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을 준비 중이다.

포도연구센터는 향후 국산 포도 품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목표를 세워 미국과 중국, EU 등과 FTA체결에 따른 국내 재배 품종을 다변화시키기로 했다. 또 한국 특산 포도주 생산이 가능한 양조용 품종도 육성해 포도 재배 농가들의 안정적인 포도 수급을 위한 지원 방안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