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2.1℃
  • 맑음강릉 27.1℃
  • 맑음서울 24.0℃
  • 흐림대전 22.1℃
  • 흐림대구 21.0℃
  • 흐림울산 20.3℃
  • 흐림광주 20.6℃
  • 흐림부산 20.9℃
  • 흐림고창 19.7℃
  • 흐림제주 21.0℃
  • 맑음강화 22.9℃
  • 흐림보은 19.2℃
  • 흐림금산 19.5℃
  • 흐림강진군 18.5℃
  • 흐림경주시 19.9℃
  • 흐림거제 19.2℃
기상청 제공

저축은행 예금리 인상 행렬

PF부실채권 매각후 속속들이… 평균 0.1%P↑

제1금융권에 이어 저축은행들도 예금금리 인상에 가세하고 있다.

2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1년 만기 정기예금 기준으로 지난 6월말 이후 예금 금리를 인상한 저축은행은 모두 38곳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저축은행 105곳의 36.2%가 금리를 올린 것이다.

지난 6월말 당시 연 4.15%였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이달 25일 현재 4.25%로 0.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올 초만 해도 5%를 웃돌던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지난 4월 들어 4%대로 내려갔다. 그러나 5월말부터 역대 최저치인 4.14%를 한 달 반가량 유지한 뒤 지난 7월 초부터 속속 인상되고 있다.

이들 저축은행의 예금금리 인상은 외국인들이 국내 채권을 대거 매수함으로써 은행채 금리가 하락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교원나라·W·삼화·신민·신안·제일·진흥·푸른·푸른2·현대스위스·영남·남양·신라·인천 등 14개 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4.5%로 올렸고, 대영·스카이·한신·부산HK·삼정·안양·인성·SC스탠다드 등 8개 저축은행도 4.4%로 인상했다.

이처럼 저축은행들이 예금금리 인상에 나서는 것은 지난 6월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하면서 부터다. 당시 부채 등 금융 부실을 상당 부분 털어낸 이후 본격적인 사업 재개를 위해 저금리 자금을 미리 확보하려는 목적이 강하다는 것이다.

또한 향후 금리 상승이 대세를 이룰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어서 저축은행들의 예금금리 인상 행보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2월 연 8%를 넘어서기도 했던 저축은행 예금금리는 당분간 인상 폭이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