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2.1℃
  • 맑음강릉 27.1℃
  • 맑음서울 24.0℃
  • 흐림대전 22.1℃
  • 흐림대구 21.0℃
  • 흐림울산 20.3℃
  • 흐림광주 20.6℃
  • 흐림부산 20.9℃
  • 흐림고창 19.7℃
  • 흐림제주 21.0℃
  • 맑음강화 22.9℃
  • 흐림보은 19.2℃
  • 흐림금산 19.5℃
  • 흐림강진군 18.5℃
  • 흐림경주시 19.9℃
  • 흐림거제 19.2℃
기상청 제공

엥겔계수 9년만에 최고치 기록

2분기 13.3% 농산물價 급등 원인 저소득층 가계 타격

생계비 중 음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엥겔계수가 올 2분기 9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필수품인 식료품은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어느 가계나 소비하기 때문에 소득이 높을수록 엥겔계수는 낮고 소득이 낮으면 정반대 현상을 보인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2분기 국내 가계의 엥겔계수(계절조정)는 13.3%로 집계됐다. 2분기 가계 최종 소비지출액 145조9천억원 중 13.3%인 19조4천억원이 식·음료품을 사는 데 쓰였다는 뜻이다.

올 2분기 엥겔계수는 지난 2001년 3분기의 13.8% 이후 가장 수준이다.

엥겔계수는 대체로 후진국에서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엥겔계수가 높은 경우는 생활이 넉넉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엥겔계수나 낮은 경우는 생활이 풍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970~1980년대 20~30%대에 이르던 우리나라의 엥겔계수는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2000년대 12%대로 하락하다 지난해부터 13%대로 반등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엥겔계수 상승이 올해 들어 식료품 가격이 많이 오른 탓으로 분석했다. 이상기후와 잦은 비로 인한 농산물 수확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한 것도 원인 중 하나다.

다만 가격 변동 요인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 보면 2분기 엥겔계수는 12.6%로 2008년 이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분기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작년 동기 대비 5.4%였지만 신선식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8%로 두배 가까이 됐다. 이에 따라 엥겔계수 상승에 따른 부담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커졌다.

가격이 급등한 채소·과일류에 대한 지출액이 소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소득 하위 20% 가구가 1분기 3.98%에서 2분기 5.15%로 1.17%포인트 높아졌기 때문이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 가구에서는 이 비중이 2.31%에서 2.78%로 0.47%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삼성과 LG 등 민간경제연구소는 “엥겔계수 상승은 가계의 주름살을 깊게 만들 우려가 있어 하반기 물가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