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6℃
  • 흐림강릉 23.6℃
  • 서울 24.4℃
  • 흐림대전 24.6℃
  • 대구 23.5℃
  • 울산 24.4℃
  • 광주 24.2℃
  • 부산 24.2℃
  • 흐림고창 25.1℃
  • 흐림제주 27.8℃
  • 흐림강화 23.2℃
  • 흐림보은 23.5℃
  • 흐림금산 23.9℃
  • 흐림강진군 24.8℃
  • 흐림경주시 24.2℃
  • 흐림거제 24.2℃
기상청 제공

[책] 美대중문화, 왜 세계를 지배할까?

6가지 요인 일목요연하게 설명

세계문화전쟁

강준만 글|인물과사상사 416쪽|1만6천원.

1981년 미국 음악 케이블티브이 채널인 ‘MTV’는 경계와 의미를 파괴하는 문화적 충격으로 전 세계의 젊은이들을 미국식으로 동질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말 미국 시트콤 ‘프렌즈’가 큰 인기를 끌면서 시작된 미드(미국 드라마) 열풍이 ‘섹스 앤드 더 시티’, ‘CSI’, ‘프리즌 브레이크’ 등으로 이어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미드 열풍은 브런치, 칙릿, 된장녀 신드롬, 뉴욕 라이프 스타일 유행, 와인 열풍 등 한국의 문화 아이콘의 중심으로 생활양식과 문화 패턴을 끊임 없이 생산해내고 있다.

미국 인터넷 정보제국을 이끌고 있는 두 선두 주자 구글과 위키피디아도 문화전쟁의 중심을 차지한다. 전 세계 검색 시장의 60~70%를 점유하고 있는 구글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혁명을 주도했지만 검색 신드롬의 과잉을 야기해 개인정보 유출 간은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무료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는 집단 지성의 협업에 의해 창출되는 경제를 가리키는 ‘위키노믹스(wikipedia+ecopnomics)’라는 말까지 탄생시킬 정도로 성장했으나 미국중심주의에 철저한 편집 방향과 대중지성의 합리성에 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팍스 아메리카나와 글로벌 미디어 ‘세계문화전쟁’은 미국에 대항해 세계 각국의 문화전쟁이 본격화한 지난 10여 년의 역사를 12개의 현상적 질문과 그에 대한 탁월한 답변으로 갈무리한 책이다.

세계 제1의 국력에서 비롯된 규모의 경제, 문화제국주의의 정치경제적 효용을 염두에 둔 강력한 국가적 지원, 각 부문 간 시너지 효과, 미국의 프런티어·이민문화의 장등 6가지 이유를 들어 미국의 대중문화가 세계를 석권한 까닭을 일러준다. 세계 문화전쟁이 국경과 분야를 뛰어넘어 우리의 일상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게 하는 책.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