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교육수요자 중심의 지원체계 마련을 위해 지난달 1일자로 시행한 조직개편이 한 달여가 지나 일부 지역 교육지원청에서 특정 부서에 업무가 가중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들 교육지원청의 경우 지역 현안에 대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곳으로 특정 부서의 업무 부담에 따라 교육서비스 질 저하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 지침에 따라 지난달 1일자로 도교육청과 제2청, 25개 교육지원청의 조직을 교육수요자 중심의 지원체계로 개편했다.
특히 교육지원청의 경우 도교육청과의 협의를 통해 기존 학무국(과), 관리국(과)을 각각 교수학습국(과), 경영지원국(과)로 개명하고 일부 담당부서를 통합, 이관, 해체하는 등 담당업무를 변경했다.
이 가운데 일부 교육지원청에서는 특정 부서로 업무가 이관되거나, 인원이 줄어드는 등의 변화를 겪으며 업무 과중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교육지원청의 경우 기존 관리과에 있던 관리담당과 수용담당을 재무과(현 학교현장지원과)로 이관하고 새로운 업무를 부여하며 담당공무원들의 업무가 크게 늘었다.
현 학교현장지원과에서 관리담당은 예산담당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존 성과지원담당에서 맡고 있던 대응투자사업이 이관됐다.
인원은 그대로인데 반해 업무가 늘어나 직원들의 불만은 높다.
또 수용담당은 관재담당과 합쳐져 학생수용관재담당이 됐지만 기존의 관재담당계장 정원 1명이 빠지게 돼 업무 추진에 부담이 늘었다.
아울러 기존 중등교육과에서 2명이 맡고 있던 중입배정 업무를 이곳에서 1명이 담당하며 업무가 가중됐다.
B교육지원청도 수용담당이 학생수용관재담당으로 변경됐지만 관재담당계장 정원 1명이 빠진 가운데 중입배정 업무가 늘어나 사업 추진에 애를 먹고 있다.
지역 교육지원청의 한 직원은 “교육소비자를 위해 조직개편을 추진했다고 하지만, 실상 교육지원청에서는 업무 배정이 합리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일부 공무원들만 애를 먹고 있다”며 “특정 부서에 업무가 편중되면 교육서비스 질 또한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역 교육지원청의 부서 인원 조정은 교육장 권한이기 때문에 내부에서 협의를 통해 개선시켜야 한다”며 “도교육청은 현재 교육지원청 점검을 통해 업무 과중 등의 문제를 함께 협의해 가며 풀어가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