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군포시 속달동 주민 “민가 위 송전탑 이전해 달라”

군포시 속달동 주민 촉구… “날씨 나쁜날 고압선 화재기억에 밤잠 설쳐”

 

군포시 속달동 주민 60여 세대가 마을 안에 세워진 고압 송전탑 송전선로 이축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26일 속달동 주민들에 따르면 비가 오며 낙뢰가 치는 날이면 이 지역 주민들은 지난 2006년 9월 의왕시 청계산고압선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택과 상점 및 인접한 청계산의 일부를 태우는 기억이 떠올라 밤잠을 이루지 못하며 불안에 떨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과천· 군포·안양 등 7개 지역 소방서와 한전 등에서 모두 359명의 소방인력과 69대의 장비를 투입했었다.

이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민 남 모(60)씨는 “바람이 부는 날이면 송전탑과 송전선에서 나는 소음 때문에 밤잠을 설친다”며 “비가 오고 낙뢰가 치는 날이면 낙뢰에 맞지 않을까 불안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방모(63·여)씨는 “속달동 주민들은 군포시민이 아니냐며 농사를 일구며 살아가는 농민이라 소외 받는 것 같아 억울하다”며 고압 송전탑 송전선로 이축을 요구 했다.

주민들은 한결같이 군포시와 한전이 이 지역의 고압 송전탑과 송전선의 지중화가 어렵다면 송전탑이 지붕 위로 지나가지 않도록 다른 곳으로 옮겨서 설치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민가 위를 지나는 송전선의 피해는 학술적인 연구에서도 확인됐었다. 지난 2006년 10월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소장)는 연구보고서에서 “최근 수도권지역 주민과 초등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송전선 주변 주민들이 두통 등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김 교수의 보고서에는 ‘송전선이 없는 지역은 하루 평균 1.05mG의 전자파에 노출된 반면 송전선이 있는 인근 지역은 하루 평균4.6mG의 전자파에 노출 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시와 한전은 지난 1월 28일 사업비를 각 50%씩 부담해 수리산자락을 지나는 송전탑 15기를 철거하고 오는 2013년 12월까지 송전선로를 지중화 하는 협약을 체결, 지난 2월부터 실시 설계용역에 들어가 있는 상태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