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7 (일)

  • 흐림동두천 18.9℃
기상청 제공

별내선 복선전철 첫삽뜨기 힘드네

노선변경 암사동 주민 반발 사전환경성검토 설명회 무산

별내선 복선전철 사업이 첫 삽을 뜨기도 전에 삐걱거리고 있다. 사전환경성검토가 끝난 서울시와 경기도가 주민설명회를 13일 열기로 했으나 암사동 주민들이 노선 변경 문제를 놓고 반발, 끝내 무산됐다.

13일 경기도와 강동구 등에 따르면 도는 이날 서울 암사동 주민센터에서 사전환경성검토 주민설명회를 열고 건설폐자재 활용과 처리, 환경 발생요인 및 저감방안을 포함한 기본계획 등을 설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예비타당성 노선(암사역~고덕뒷길~양지말을~암사정수장~한강통과노선)이 최적노선(4.33Km)으로 선정되면서 강동구 주민들 “이를 받아들일수 없다”며 반발, 결국 주민 공청회가 무산됐다.

강동구는 암사~고덕동길~양지시장~암사정수장~한강통과노선을 지나는 1안(4.51Km)과 암사~고덕동길~양지마을역~고덕역~광문고역~한강통과노선을 경유하는 2안(6.70Km)을 건의 했었다.

사전환경성검토에서 최적노선으로 선택된 암사~한강통과 노선은 노선연장(4.33Km)이 짧고 지장물저촉이 적어 건설비가 비교적 저렴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정거장이 도심 외곽에 위치해 이용객의 편의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됐다.

강동구 주민들이 원하는 1안은 이용객 수요가 많은 고덕동길에 정거장 세워 이용객 수요확보에 유리한 반면, 시점부 개착공법적용으로 집단민원이 발생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선사사거리 및 양지시장 우각부지장물 저촉으로 보상비가 상당할 것으로 판단했다.

2안의 경우 강동구 주민들이 원하는 5호선 고덕역의 환승으로 수요 확보와 편의성 증대에 긍정적 영향이 있으나 1안과 마찬가지로 보상비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또 광역철도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예비타당성노선이 최적노선으로 선정되면서 강동구 주민들과 별내선 건설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강동구 주민들이 원하는 노선으로 갈 경우 노선도 길어지고 수천억원의 보상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노선변경은 힘든 상황”이라며 “앞으로 강동구 주민들과 의견조율을 하는 등 별내선 복선전철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