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전·월세 안정화를 위해 공공과 민간에서 보유중인 미분양아파트 7천800여 가구를 전·월세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18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시공사 미분양 주택 260여가구와 민간부분 7천500여가구를 전·월세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민간주택 7천552가구를 전환하기 위해 건설사들을 상대로 협의를 벌인다는 방침이다.
도는 우선 오는 24일 광주시 D건설과 성남시 Y건설, 남양주시 W건설, 이천시 S건설이 참여한 가운데 협의에 들어간다. 하지만 대다수 건설사들이 중·소형 건설사들이어서 오르는 전·월세를 진정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울러 도는 소형주택 공급을 위한 제도개선, 공급 계획을 골자로 하는 ‘1~2인 가구가 살 수 있는 소형주택 공급확대 방안’을 마련, 임대가구수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도민들을 위한 전·월세 실거래가 정보도 도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해 읍면동 단위의 전·월세 실거래가격과 기존 업체조사가격도 동시에 제공, 임차인들이 정확한 시세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이같은 전·월세 안정화대책 시행외에도 국토해양부에 맞춤형 임대주택 확대 및 연장, 국민임대 조기착공과 준공 등을 지속적으로 건의키로 했다”면서 “도는 당초 계획보다 준공과 착공이 늦어지고 있는 10만가구가 넘는 국민임대주택문제만 해결되도 현 전세문제가 크게 완화될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