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31 (수)

  • 구름많음동두천 28.4℃
  • 맑음강릉 33.3℃
  • 구름많음서울 29.1℃
  • 구름많음대전 29.5℃
  • 맑음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많음광주 29.1℃
  • 맑음부산 31.1℃
  • 구름많음고창 30.1℃
  • 구름조금제주 31.8℃
  • 맑음강화 28.2℃
  • 흐림보은 27.4℃
  • 구름많음금산 28.4℃
  • 구름많음강진군 30.3℃
  • 맑음경주시 32.4℃
  • 맑음거제 30.7℃
기상청 제공

[수요초대석] 이정복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

도민 안심생활환경 조성 전력 기울이겠다

 

도내 가축질병 관련 위험징후 안나타나

매몰지 주변 300m 내 지하수 수질검사

향후 3년간 수질관리 철저대응

이정복(55)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1일 “현재까지 경기도에서 구제역과 AI등 가축질병과 관련해 위험할 만한 징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면서 “도민들이 안심하고 생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기 위해 보건환경연구원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 원장은 매몰지 주변의 먹는물과 관련해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구제역 발생지역 19개 시·군의 매몰지 주변 300m이내 지하수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앞으로 3년 동안 수질관리에 철저한 대응을 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이 밝힌 수질검사의 내용은 도내 구제역 관련 매몰지 주변 6천672곳에 대한 전수조사 및 수질검사를 의미한다. 현재 전수검사와 분석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아직까지는 위험할 만한 수준의 오염은 없다는게 이 원장의 설명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이 먹는 물과 관련해 가장 신경을 쓰는 게 바로 오염지표.

구제역으로 인해 오염 될 경우 암모니아성질소와 염소이온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지만,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없다. 현재까지 1천687건을 검사해 그중 22.5%인 380건이 먹는물에 적합하지 않은 판정이 났지만, 이는 지하수 자체에 문제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측은 1차 수질검사를 오는 11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 같은 대책과 관련해 경기도는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구제역 매몰지 경기도 매뉴얼’을 현재 마련중이다. 소독방법에서부터 처리장연계방안, 유효투입량 등을 결정해 일선 시·군에 지도할 방침이다.

또한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민관합동자문단’을 구성해 경사매몰지 하천변 등의 오염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보견환경연구원은 아울러 현재 상대적으로 우려가 덜한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응에 있어서도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대책반’을 구성, 인체감염에 대한 진단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중이다.

매주 한차례 도내 9곳의 협력병·의원을 이용하는 호흡기환자들의 인후도찰물을 대상으로 인체감염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농장주와 살처분자 등 고위험군 종사자들의 집단발병에 대비, 환자검체 수송 시스템과 유전자분석을 위한 시약 및 기구 등을 확보하는 등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와함께 현재 AI와 SARS, 탄저균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원 내 BSL(Bio-Safety Level)2+ 실험실을 BSL3로 보강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BSL3로 등급이 올라갈 경우 도내에서 발생하는 고위험 및 신·변종 전염병에 대한 조기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연구원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대응에도 불구하고 각종 구제역 우려에 대해 이 원장은 일부 언론보도가 지나치게 과장되거나 추측된 부분이 국민들의 걱정을 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적절한 지적에 대해서는 보완해 나가야 할 문제이지만, 상당히 과장된 부분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가축 매몰지 침출수로 주변 지하수가 오염됐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 과장된 것입니다. 아직까지 매몰지 영향으로 오염된 사례는 없기 때문입니다”

과학적 근거에 의한 결과 추출 보다는 언론보도가 앞서면서 도민들이나 한강수계를 이용하는 국민들의 근심이 더해진다는 우려를 표현한 것이다.

이 원장은 이번 구제역 발생 후 ‘사후약방문’ 지적에 대해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이번 구제역처럼 빠른 확산이 없어 충분한 대응책이 마련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더욱이 경기도는 매몰두수와 매몰지가 전국의 50%를 차지했던 만큼, 그만큼의 대응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국내에선 이번 구제역처럼 빠른 확산을 보인 사례가 없었습니다. 가까운 대만의 경우 이같은 사례가 있었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런 경험을 해보지 못한 까닭에 대응 또한 일부 미숙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런 대응을 위해선 정부의 농수산식품부와 환경부의 협의된 가축질병대응매뉴얼이 빠른 시기에 도입되야 한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번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하천에서 30m떨어진 매몰지에 대한 우려가 곳곳에서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도는 정부와 협의를 해 나가고 있다. 또한 앞으로 백신접종을 유지하는 문제와 이동식소각차는 발주, 빠르면 4월 이후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소각차 운영에 대해서도 환경부와의 협의는 반드시 뒤 따라야 한다고 그는 조언했다. 다이옥신 등에 대한 우려를 미리 잠재운 뒤 운영하는게 낫다는 뜻으로 비춰진다.

“이번 구제역을 축산위생연구소 기능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조직도 커지게 돼 장기적으로는 명칭도 변경해 특화되는게 바람직 하다고 봅니다”

그는 또한 최근 구제역 등 검사기능 지방이양이 결정되면서 경기도축산연구소가 더욱 확대, 운영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보건환경연구원과의 밀접한 관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축산위생연구소는 동물성을 주로 다루고, 보건환경연구원은 사람에게 옮겨 질 수 있는 동물병원균과 먹는 물 등을 관리해 이원화 된 현 체제가 계속 유지될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해 이 원장은 AI같은 경우 동남아 등에서 사람에게로 옮겨진 사례가 있기 때문에 동물과 사람 부분에 대한 이원화는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양 기관이 특화되고 전문화된 길을 가야한다는 바람도 포함돼 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