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기업들의 40%이상이 자금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시급하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인천지역 기업들의 자금조달실태를 파악하여 업계의 애로 및 제도개선사항 등을 발굴, 정책건의 등 관련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인천지역 194개사를 대상으로 ‘인천지역 기업의 자금조달 실태 및 개선과제에 대한 기업인 의견조사’를 실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인천지역 기업들은 전년 하반기와 비교한 자금조달 상황에 대해 ‘보통’(46.9%)이라고 답변한 업체가 가장 많았고 ‘악화’라고 응답한 업체도 34.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양호’(10.3%), ‘매우 악화’(7.2%)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매우 양호’(1.5%)라고 응답한 업체도 소수 있었다.
자금 조달여건 상황이 어려운 원인을 묻는 설문에서는 ‘대출한도 및 담보여력 감소’(31.7%)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내부조달자금 감소’(28.8%)라고 응답한 업체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기업의 주요한 자금 조달 수단을 설문에는 조사기업의 절반이상인 52.8%가 ‘은행’을 주요 자금조달 수단이라고 답변하였고 다음으로는 ‘정책자금’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31.8%로 나타나 기업들에 대한 정책자금을 더욱 늘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기타’(8.5%), ‘비은행금융기관’(4.5%)으로 조사되었고, ‘주식 및 회사채’를 주요 자금조달 수단으로 이용하는 업체가 2.3%로 나타나 인천지역 업체들은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자금조달 수준을 묻는 설문에서는 ‘정책자금’(43.0%)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신용대출(22.3%), ‘담보대출‘(16.1%), ‘신용보증 대출’(15.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인천상공회의소에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인천지역 기업들의 자금 조달 형태가 직접금융(주식 및 회사채)을 통한 자금조달 비중(2.3%)이 매우 낮고, 은행 대출(52.8%)이나 정책자금(31.8%) 비중이 아주 높아 신용도나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은행들이 리스크관리를 강화할 경우 우량 기업에 대한 대출에 집중되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아 기업에서는 자금 조달 채널을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인천지역 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금조달 수단이 정책자금(43.0%) 으로 나타난 만큼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한편 인천상의 관계자는 “조사 기업들의 차입 자금의 주요 사용처가 설비투자(40.4%)비중이 높게 조사된 만큼 중소기업 운전 및 시설자금 지원 확대가 요망되며 차입 자금을 원부자재 구입(39.4%)으로 사용하는 빈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최근 원부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천지역 업체들의 일시적인 자금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단기자금 대출지원 확대와 원자재 가격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