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6℃
  • 구름많음강릉 21.7℃
  • 구름많음서울 22.8℃
  • 박무대전 22.4℃
  • 흐림대구 25.3℃
  • 구름많음울산 23.5℃
  • 박무광주 23.3℃
  • 박무부산 21.6℃
  • 흐림고창 22.9℃
  • 제주 25.5℃
  • 구름조금강화 21.5℃
  • 구름많음보은 21.5℃
  • 구름조금금산 23.1℃
  • 구름많음강진군 23.5℃
  • 구름많음경주시 24.6℃
  • 흐림거제 22.5℃
기상청 제공

폐사畜 무단매립 관행화… 당국 뒷짐

도내 축산농가 무분별 매몰 처리 환경오염·전염병 확산 우려
방역당국 실태파악조차 못해… 논란일자 뒤늦게 역학조사

 

<속보>화성의 한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돼지 사체를 불법으로 매립해온 것으로 드러나자(본보 23일 1면 보도) 화성시 등 관계기관이 재매몰과 역학조사 등 긴급조치에 나섰다.

하지만 경기도내 소·돼지·닭 등의 축산농가에서 폐사 가축을 이 같은 방식으로 불법 매립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오염 우려가 확산되면서 도와 시·군의 가축농가 관리소홀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23일 경기도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화성시는 본보 취재 직후인 22일 오후 중장비를 동원, 불법 매립지 바로 옆에 3×3m 넓이, 6m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비닐·생석회 등을 이용해 매뉴얼에 따라 돼지 사체를 재매몰했다.

하지만 이 같은 불법 매몰 사례가 소·돼지·닭 등 축산농가에서는 비일비재한 것으로 확인된데다 축산담당 공무원들조차 이를 관행으로 여기고 실태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문제가 된 돼지농장에서 200여m 떨어진 소 축산농가에서도 농가 바로 옆에 임의로 구덩이를 파 폐사한 소를 불법 매몰한 것으로 확인됐고, 환경단체와 수의사들도 이같은 실태를 인지하고 있었다.

특히 축산 전문가들은 대규모 단위로 가축을 키우는 기업형 농가의 경우 폐사 가축을 수십여마리씩 불법매몰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도 도와 시·군은 실태파악에는 뒷짐만 지고 있다.

도는 폐사 가축의 불법 매몰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 2008년부터 폐사축 처리기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이를 설치한 곳은 도내 1만6천여 축산농가 중 59곳에 불과했고 장비를 설치한 농가 대부분도 운영비 부담 등의 이유로 작동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가 된 화성시 돼지농가도 이 장비를 설치해 놓고는 있지만 기계결함과 비용부담의 문제로 작동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에 따라 폐사축 처리기가 설치되지 않은 도내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는 앞으로도 병명이 분명하지 않은 폐사 가축을 무분별하게 매몰할 것으로 보여 이에 따른 환경오염과 전염병 확산 등이 우려되고 있다.

한 수의사는 “축산농가에서 불법매몰하는 것은 예전부터 암묵적으로 빚어져 왔다”고 전한 뒤 “무엇보다 농장주가 무조건 폐사 가축을 매몰해 병원성 질환여부가 전혀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수의사는 이어 “축산담당 공무원 대부분이 이 같은 실태를 인지하고 있지만 실태파악은 하지 않아 환경오염 우려가 높은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폐사축 처리기 지원 사업의 경우 농가들이 운영비 부담문제로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전반적인 실태파악을 벌인 뒤 폐사 가축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