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올해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1230억 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경기도서관이 도서관장직 임명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연이어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도는 지난해 12월부터 경기도서관장직을 신설해 신임 도서관장 중심으로 도서관 개관을 준비하려고 했으나, 도의회 문턱을 넘지 못하며 관장 임명 절차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16일 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이날 경기도서관장직 신설 내용이 담긴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하 조직개편안) 관련 질의를 진행했다.
이날에도 기획재정위원들은 경기도서관장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도의회 기재위원들은 도가 도서관장직을 다른 시도보다 한 급수 높은 3급 상당으로 신설하고, 이를 공개모집으로 채용하려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오창준(국힘·광주3) 기재위원은 이날 질의를 통해 “우려스러운 건 도서관법에 대한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도서관장직의) 개방형 직위 지정을 통해 사서 자격이 없는 인물을 임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로 인해 도와 경기도서관이 얻는 편익이 큰지가 의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허승범 도 기획조정실장은 “예단해서 답하기 어렵지만, 가급적 사서 자격증을 가진 인물을 임명하는 걸 원칙으로 할 것”이라고 답했다.
도의회 기재위는 17일 조직개편안 통과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도서관장 신설이 처음으로 추진된 지난해 12월부터 도와 도의회는 도서관장에 대해 이견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4월과 지난달 회기에도 도서관장 신설 내용이 담긴 도의 조직개편안은 기재위에서 대폭 수정된 뒤, 본회의에 상정조차 되지 못했다.
도의 입장에선 도서관장 신설을 위해 이번 회기까지 같은 내용의 조직개편안을 3번째 제출한 셈이다.
10월 개관을 앞두고 도서관 준비에 차질을 빚고 있는 만큼 도서관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정수 한국도서관협회 사무총장은 이날 경기신문과 통화에서 “경기도서관 건립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아는데, 관장 없이 도서관이 개관되면 도서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의 대표도서관은 도서 대출·반납뿐 아니라 도서 선정, 독서 동아리·강연 운영 등을 통해 주민의 인식을 전환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립도서관장인 도서관장은 도내 도서관 운영과 도서관정책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며, ‘도서관법’ 제34조에 따라 도서관 사서 자격증(사서직) 등을 보유해야 한다.
도는 현재 도 내부에 이같은 조건을 갖춘 공무원이 없는 탓에 도서관장직을 개방형 직위로 지정, 관련 자격(사서직)을 갖춘 사람을 공개모집한다는 방침이다.
수원시 광교융합타운에 위치한 경기도서관은 지하 4층, 지상 5층에 연면적 2만 7775㎡ 규모로, 도가 약 1230억 원을 들여 지난 2022년 착공해 오는 10월 개관을 앞두고 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