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농약, 먹이사슬 병들게해…친환경 가로수가 해답이다

고양시 김의원, 행감서 방제대책 시행 요구

고양시가 가로수 병충해 방제를 위해 상당한 양의 농약을 뿌렸지만, 오히려 병충해 발생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의회 김윤숙(국민참여당)의원은 고양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2010년 행정사무감사 자료를 통해 이런 사실이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행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관내 가로수에 1천345ℓ, 주요공원에 4천711ℓ 등 모두 6천56ℓ의 농약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으로 병해충를 방제했다.

그러나 병해충 발생 면적은 2008년 450ha, 2009년 555ha, 2010년 633ha로 오히려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의원은 행정감사 당시 고양시에 화학적 방법인 아닌 친환경 가로수 방제 대책을 세울 것을 요구했다고 덧붙혔다.

이에 따라 고양시 일산서난5월 한국생태도시연구소에 의뢰해 강성로 등에 심어져 있는 회화나무 778주를 대상으로 천적을 이용한 친환경가로수 방제 시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사범사업 결과, 현재까지 회화나무에 나무이류, 줄마디가지 나방, 짓딧물류, 깍지벌레류 등 해충이 발생했지만, 풀 잠자리 등 10여종의 다양한 천적에 의해 해충의 개체수가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나방 애벌레 등은 해충이 아닌데도 무분별한 화학적 방제로 전멸하고 벌레를 잡아 먹는 새들도 도시를 떠나게 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라며 “농약을 살포하지 않아도 나무 생육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여야 할 것”이라고 말햇다.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도 “화학적 방제로 당장은 병해충이 감소되는 것처럼 보여도 해가 지나면 더 극심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살포된 농약이 빗물 등에 씻겨 흘러 들어 가 다시 먹이사슬로 식탁에 돌아온 만큼 화학적 방제에 대한 근본적이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가로수와 공원 녹지의 수목 소독은 농약을 뿌려 방제해 온 것이 사실“이라며 “시범사업에 대한 최종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고 가로수 방제 방법 등에 대해 검토해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