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교권 추락과 교육현장의 사제간 위상변화, 학생인권조례 등 학생들의 발언권 강화 등 경기도내 교육계의 큰 변화 속에 교권 재정립을 위한 제도 개선책이 마련돼 주목된다.
김상곤 도교육감은 8일 교사들이 5년에 한번씩 특별연수를 할수 있는 ‘교원연구년’ 본격 도입과 교원들의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공문없는 날’ 시행 등 교사들의 사기진작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2012년 연구년 수행교사 300명을 선발했으며, 교권추락 등 터져나오는 교사들의 불만이 잦아들지 주목된다.
김 교육감은 이날 “교과연수년제를 통해 5년마다 도내 교사들이 새롭게 태어나 경기교육을 바꿔나갈 것이고, 업무경감을 통해 교사들이 교실에서 오로지 학생들에게만 집중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김 교육감의 이번 대책이 나오기까지 무차별한 교권침해에 대한 우려와 막중한 행정업무로 순수한 교수활동마저 차질을 빚고 있다는 등 교사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1학기에 접수된 교권침해 사례가 200건에 달한다고 최근 밝혔고, 지난 5일에는 부천의 한 고교에서 남학생이 여교사에게 반말과 삿대질로 덤비는 동영상이 인터넷 게시판을 뜨겁게 달궈 논란을 낳았다.
지난 11월에는 성남의 한 여교사가 학부모의 거친 항의에 뇌출혈로 쓰러지기도 했으며 상반기에는 남중생이 여교사의 치마속 동영상을 촬영해 인터넷에 유포하는 일이 벌어지면서 기도 했다.
수원의 모 고교 교사는 “모든 학생은 아니지만 선생님 권위에 도전하는 게 용기있는 행동으로 받아들여지는 듯하며 우쭐대는 분위기까지 있다”고 한탄했다.
교사들의 고충은 이뿐만이 아니다. 교사들은 넘쳐나는 공문 때문에 순수한 교수활동마저 크게 지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8일 도교육청이 발표한 ‘단위학교 공문 생산실태분석’에 따르면 도내 초등학교에서 하루 처리하는 공문만 25건이 넘어, 교원 1인당 년간 총425건에 달하는 공문을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공문 상당수(초 86%·중 95%·고 85%)가 학교의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3월1일 이후 처리되는 것이라 독자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한편, 경기교총은 지난 7일 교권추락이 심각한 상태라며 학생인권조례와 함께 교원인권보호조례도 제정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