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시멘트 가격 상승 탓… 업체간‘진흙탕 싸움’

시멘트 “유연탄 가격 폭등 적자폭 감당 힘들어”

건설업계 “여러 부실화 겪고있어 원가부담 못버텨”

레미콘 “레미콘가격 안올려줘 양쪽서 뺨맛는 격”

시멘트 가격 상승을 둘러싸고 올 초부터 시멘트와 레미콘, 건설업계 간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어떤 중재안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멘트 제조업계가 지난달 시멘트 가격을 t당 6만5천500원에서 7만6천원으로 인상한다고 통보한 지 한 달만에 세 업계간 갈등이 걷잡을 수 없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먼저 시멘트 최대 수요자인 레미콘 업계가 지난달 31일 대표자회의를 통해 가격 인상을 철회하지 않을 시, 오는 22일부터 조업 전면 중단을 나선데 이어 31개 대형건설사 자재담당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에서도 지난 9일 총회를 열어 쌍용, 동양시멘트의 제품 및 이들 회사 계열의 레미콘 제품을 구매 거부키로 결의했다.

이에 대해 시민트 업계도 가격 인상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건설사들에게 시멘트 공급을 중단하는 등 강경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세 업계간 갈등은 원자재 가격 인상과 건설경기 침체 등 모두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기에 일방적인 양보만을 강요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멘트업계는 시멘트 제조원가의 35%를 차지하는 유연탄 국제시가가 2009년 90만달러에서 지난해 140만달러로 뛰어 적자폭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건설업계도 공공토목 발주 감소, 주택경기 부진,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 부실화 등에 시멘트, 레미콘 등의 원가부담까지 더해지면 버티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레미콘 업계는 지난해 시멘트 가격이 30% 올라 레미콘 제조원가가 크게 올랐음에도 건설사들이 레미콘 가격을 10%도 올리지 않아 ‘양쪽에서 뺨맞는 격’이라고 한다.

이번 사태가 금주 안에 해결되지 못한다면 2008년 이후 4년 만에 레미콘 생산이 중단돼 일부 공사 현장이 멈추는 일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목소리가 크다.

이에 대해 시멘트 업계는 지식경제부를 통해 가격 인상의 당위성을 주장하면서 사태 해결에 도움을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지경부는 건설사 소관 부처인 국토해양부와 중재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가격의 인상을 철회하거나 인상폭을 낮추는 식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이 크다”며 “건설업계는 국가와 서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 주택공급을 담당한다는 위상을 갖고 있어 결국 이들의 목소리가 더 크게 반영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