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 10곳 중 7곳이 규제가 경제력 집중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5개 지주회사를 대상으로 ‘지주회사 애로현황과 정책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지주회사 규제강화가 경제력 집중 해소에 도움이 될지에 대해 응답기업 68.5%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4일 밝혔다. 반면, ‘그렇다’는 응답은 31.5%에 그쳤다.
최근 일부 정치권에서는 대기업의 경제력 집중 해소를 이유로 상장 자회사 지분율 요건을 현행 20%에서 30~40%로 높이고, 부채비율 상한선을 현행 200%에서 더 낮추는 등의 규제강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지주회사 규제가 강화되면 자회사 지분 취득, 부채 비율 조정 등에 투자재원이 소진돼 결국 경제력 집중을 해소하기보다는 기업의 투자여력과 고용창출력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부담이 되는 규제로는 ‘자회사 지분율 요건’(45.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출자구조 제한’(33.3%), ‘부채비율 제한’(11.1%), ‘금산분리’(5.6%), ‘지주회사 강제전환제도’(4.2%) 등을 차례로 답했다.
지주회사 제도 중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정책과제로는 ‘지분율·출자제한 완화’(60.8%)를 가장 많이 꼽았고 ‘지주회사 인센티브 확대’(21.6%), ‘지주회사 강제전환제도 폐지’(12.2%), ‘금산분리 완화’(1.4%)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