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전국 초·중·고교에서 일제히 치러지는 학업성취도평가를 정면으로 반박(본보 6월 21일자 1면 보도)한데 이어 오는 26일 5번째 시행을 앞두고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일부 교육감들이 평가거부 학생을 위한 별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교과부 방침에 반발하고, 교과부가 교육청 평가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맞서, 기관 간의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교육과학부가 주관하는 학업성취도평가 즉 일제고사는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해 학습부진 학생들을 돕자는 게 목적이지만, 학교와 교사들의 평가에 반영돼 경쟁과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반대도 거세다
전교조는 최근 전국 350여 개 초·중·고등학교를 온라인 설문조사했는데 40% 이상이 일제고사 때문에 수업을 파행으로 진행한다고 답했다고 24일 밝혔다.
특히 학습부진 학생을 특별수업에 넣거나, 0교시 또는 7, 8교시 수업을 만들고, 주말에 학생들을 등교시키기까지 했다고 덧붙였다.
전교조의 입장과 달리 한국교총은 무조건적인 부정과 거부는 교육포기 행위라고 지적하며 교원단체간 갈등도 빚고 있다.
한국교총 관계자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는 노력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부정하고 거부하는 행위는 교육포기 행위로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또 한번의 반대 발언 이후 오는 26일 일제고사 실시를 앞두고 도내 곳곳에서 전교조, 시민단체는 물론 정치권까지 가세한 찬반 논란이 불붙고 있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