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추락하는 아파트값 아직도 거품 많다

수도권 중심으로 ‘가격 붕괴론’ 거론
2008년 최고점 대비해 실제 7% 하락
전문가들 “집값 하향화 당분간 지속”

최근 서울과 경기·인천을 중심으로 ‘집값 바닥론’이 거론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2006년 이후 43% 올랐던 집값이 7% 빠지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집값 바닥론, 거품붕괴 등의 논의는 아직 시기상조이며 수도권의 하향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17일 ㈜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45만4천630가구를 대상으로 3.3㎡당 매매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6년부터 최고점을 찍은 2008년 9월까지 매매값은 43% 올랐고 이후 현재까지는 7%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집값이 오른 때는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오르지만 내릴 때는 많은 시간이 걸리는 부동산 고유의 특성 때문이라고 부동산써브 측은 분석했다.

수도권의 3.3㎡당 매매가격은 2006년 882만원에서 2008년 9월 1천260만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약 3년 10개월이 흐른 이달 현재 1천173만원으로 매매값은 87만원이 빠졌다.

지역별로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는 2006년 3.3㎡당 2천283만원이었던 매매가격이 2007년 1월 3천1만원으로 고점을 찍었다. 현재는 2천714만원으로 287만원이 줄었다.

강북3구는 2006년 662만원에서 2008년 9월 1천245만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뒤 현재 1천127만원으로 118만원 내렸다.

2006년 5월 버블세븐으로 지정됐던 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평촌·용인은 1천657만원에서 2007년 2월 2천168만원으로 고점을 기록했다. 이후 현재 1천899만원으로 269만원이 빠졌다.

박정욱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 폭등했던 아파트값은 최고치를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울기는 완만하다”며 “앞으로 유로존 금융위기가 여전하고 집값 상승 기대감도 저하됐기 때문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하향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COVER STORY